전경련, 재생에너지 산업 밸류체인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 발표
국내 원자력 경쟁력 하락 속 중국 비중 4위에서 2위까지 급상승
태양광‧풍력 밸류체인 중국 독점…국내 기업 성장 기반 마련돼야
국가간 주도권 경쟁 치열한 수소…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확대 필요

[에너지신문] 최근 태양광·풍력 등 주요 재생에너지 밸류체인을 중국이 장악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재생에너지 발전 산업에서 중국의 입김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3일 ‘재생에너지 산업 밸류체인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 화석연료 비중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전경련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로 꼽히는 원자력과 태양광, 풍력, 수소에너지의 글로벌 발전 현황과 공급망을 살펴보고, 해당 분야 선두 국가들을 분석했다.

우선 원자력 부문에서는 원자력 분야에서는 중국의 약진이 눈에 띈다.

전 세계 원자력 발전량 중 중국의 발전 비중은 2015년 4위(6.6%)에서 2020년 2위(13.5%)로 급상승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원자력 관련 공급업체 매출액과 해외 매출액은 지난 5년 동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국내 화석연료 발전 비중을 낮추기 위해 그에 상응하는 원자력 발전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0년 기준 6.5%에 불과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으로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없기 때문에 원전 생태계 회복의 필수과제로 신한울 3, 4호기 원전의 즉각 건설 재개 등 산업계의 조속한 일감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전경련은 강조했다.

재생에너지의 대표격인 태양광과 풍력도 중국의 독점이 우려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밸류체인 상에서 중국 기업의 독점 현상이 두드러졌다. 특히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축의 필수 부자재인 잉곳과 웨이퍼는 중국이 글로벌 시장의 95%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풍력 산업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 2021년 풍력 발전용 터빈 제조사 현황을 보면 글로벌 상위기업 10개사 중 6개사가 중국기업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간 대대적인 정부지원을 바탕으로 중국의 재생에너지 산업이 급성장한 것.

전경련은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투자세액공제비율 향상 등 기업 지원정책 개정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무엇보다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며 춘추전국시대를 맞은 수소에너지는 생태계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정부 차원의 장기적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우리나라는 미래 국내 먹거리 산업으로 수소산업을 집중 육성, 수소 분야 글로벌 선두주자 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수소 밸류체인은 크게 생산, 운송·저장, 활용 분야로 구분되는데, 생산 분야에서는 일본과 독일, 운송·저장 분야에서는 프랑스와 미국, 활용 분야에서는 미국(발전용 연료전지), 일본(가정·건물용 연료전지), 한국(발전용 연료전지)이 우세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나 경쟁이 치열하다.

때문에 전경련은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액션플랜을 만들어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수소 관련 규제 점검 및 수소 기술 발전 지원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진출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