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석주 기자
▲ 신석주 기자

[에너지신문] 전기차‧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는 올해 1분기 등록대수 125만대를 기록하며, 눈부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친환경차 수요가 증가함에 자동차 시장에서 친환경차는 이미 주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정부도 새 정부 국정과제로, ‘친환경차 전환’ 실현을 기치로, 2035년까지 친환경차 전환을 내걸었다. 모두가 친환경차를 외치며, 가속 페달을 힘껏 밟고 있는 셈이다.

이럴 때일수록 친환경차 인프라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점검하는 방향성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최근 방향성에 대한 점검 필요성을 보여주는 사건이 있다. 바로, 화물파업과 전기차 화재 사고다.

지난 15일 종료된 화물연대 파업 여파로 애꿎은 수소충전소가 피해를 봤다. 화물파업이 발생한 7일동안 전국 차량용 수소충전소 3곳 중 1곳이 운영을 중단, 수소차 운전자들은 재고 연료가 남은 충전소를 찾아다니는 불편을 겪었다.

이는 수소 트레일러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으로 국한된 인프라의 빈약함을 고스란히 들어낸 것. 이로써 수소 트레일러를 벗어난 수소추출기 활용 수소충전소나 배관을 통한 수소공급 방식 등 수소유통의 다양화를 고민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지난 4일 부산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는 사고 발생 3초 만에 800도까지 치솟으며, 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을 보여준 사례다.

때문에 최근 서울소방본부에서는 전기차 화재 재연실험을 통해 최적의 진화방안을 모색했다.전기차 화재는 일반 내연기관차 화재와 달리 ‘배터리 열폭주’ 현상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진화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렵다고 판단. 다양한 방안 등을 고민하고 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실험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공유, 전기차 화재에 대비할 계획이다.

전 세계적인 친환경차 전환 기조에 발맞춰 속도를 내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전문가들도 전기차 폐배터리 문제, 친환경 에너지 생산, 충전 인프라 등의 조건을 갖추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부족한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는 것만큼, 인프라의 방향성 점검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