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公, 5대 혁신안 마련…디지털화ㆍ규제합리화ㆍ민간주도
내년 부탄캔 파열방지 의무화ㆍ8월 차단기능형 LPG밸브 전국보급

[에너지신문] 한국가스안전공사가 미래대비 5대 혁신안을 마련하고 과학적 가스안전관리를 위한 디지털 전환 및 관리방식 혁신에 나섰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곽채식 안전관리이사는 18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현안설명을 위한 전문기자 간담회를 갖고 “코로나로 촉발된 비대면 확산 및 디지털전환 등 사회‧기술환경 변화 및 새정부 정책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대비 5대 혁신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 곽채식 한국가스안전공사 안전관리이사(왼쪽 세번째)가 안전관리 정책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 곽채식 한국가스안전공사 안전관리이사(왼쪽 세번째)가 안전관리 정책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 5대 안전관리 혁신방안

5대 안전관리 혁신방안의 핵심 키워드는 디지털화, 규제합리화, 민간주도로 요약된다.

우선 1930만 도시가스 사용가구에 대한 안전관리체계를 상시․비대면 점검체계로 디지털화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도시가스사 검침원이 연 2회 세대를 방문 점검하는 방식에서 원격검침부터 안전제어까지 가능한 안전계량기 보급 및 상시 모니터링 체계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둘째, 375만 LPG 사용가구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를 규제합리화, 민간주도, 디지털화로 개편할 예정이다. 현행 4500여개 공급자 중심 수기 안전관리 방식에서 ‘공급’과 ‘안전’ 분리 및 통합시스템 기반 안전관리로 전환하겠다는 것.

셋째, 디지털화, 규제합리화를 통해 도시가스 배관 위험도 기반 안전점검 주기를 차등화할 계획이다. 현행 배관 1일 1회 획일적 안전점검에서위험성평가 기반 시스템을 구축한 사업자에 한해 점검주기를 1일 2회, 주 1회 등으로 차등하겠다는 것이다.

넷째, 2만개소의 산업용 가스시설에 대한 안전성 확인 체계도 일원화할 예정이다. 석유화학플랜트, 충전 및 저장시설 등 산업용 시설에 적용되는 연 3~4회 안전성 평가를 규제합리화를 통해 원스톱 통합평가(포괄규제) 체계로 전환한다는 것.

다섯째, 스마트 가스사고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도화한다. 48년간 축적된 가스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스사고 위험요소 분석 및 가스사고 발생 전조를 선제적으로 예측하겠다는 것이다.

곽채식 안전관리이사는 “2023년까지 전 과제 완료 목표로 산업부 및 이해관계자 협의를 통해 5대 안전관리 혁신방안을 추진할 것”이라며 “새 정부의 정책 및 안전관리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5대 변화 방안에 대해 업계와 일반 국민이 잘 수용할 수 있도록 향후 적극으로 홍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 내년부터 부탄캔 파열방지기능 장착 의무화

부탄캔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23년 1월 1일부터 제조하는 부탄캔에는 파열방지기능 장착이 의무화된다.

부탄캔은 가열하면 내부 압력 상승으로 캔의 접합부가 분리ㆍ파열하는 반면 파열방지기능은 접합부 등의 틈새(Dent)로 파열 전에 내부가스를 방출, 파열을 방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2013년~2014년 방재시험연구원의 부탄캔 안전강화방안 실증연구 결과에 따르면 파열방지기능은 부탄캔 파열 사고의 75%를 감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이후 2018~2021년 가스안전공사는 피해저감 효과 및 의무화 방안에 대해 업계와 수차례 간담회 등을 통해 의견을 모았고 지난해 2021년 3~4월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의 부탄캔 가열 실증시험결과 일반캔 대비 파열방지기능 부탄캔에 대한 피해 저감 효과를 확인했다.

이후 지난해 7월 KGS 코드를 개정해 “파열 방지기능이 100%로 안전하다”는 소비자의 오해가 없도록 ‘파열방지기능이 있는 용기도 부주의시 파열 및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 이라는 경고를 삽입토록 해 파열방지기능 시행에 따른 소비자의 오해 요인을 제거했다.

▲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전문기자 간담회를 갖고, 주요 안전관리정책 및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전문기자 간담회를 갖고, 주요 안전관리정책 및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고법시행규칙을 개정해 파열방지기능 장착 제조를 의무화토록 함으로써 내년 1월부터 시행된다.

올해 1~4월 부탄캔 제조사에 대한 준비상태를 위해 1차 국내 5개사를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모두 제조설비 증설 또는 보완중이며 5개사 모두 올해 12월 내 파열방지기능 부탄 캔 생산시설로 100% 전환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일반 부탄캔은 파열방지장치가 없지만 파열방지기능을 내장한 스프링식, CRV(Countersink Release Vent), RVR(Rim Vent Release), TS(Thermal Sensing)+RVR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CRV는 대륙제관이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RVR는 미국 ANCC사 특허기간 종료로 누구나 사용 가능하며, TS는 오제이씨(OJC)가 특허를 보유 중이다.

가스안전공사는 향후 6월과 11월 상, 하반기 제조사별 수집검사 실시해 유통중인 부탄캔의 품질확보를 강화하고 대국민 안심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8월~10월 파열방지기능 제조설비 및 품질 안정화 상태를 점검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5월과 9월에는 국민참여 안전협의회 운영, 제조사 및 공사 상호 소통 공간을 통해 미비 사항을 점검, 안전 문화를 확산할 예정이다. 파열방지기능 장착 의무화 등 부탄캔 관련 사고 예방 방지 프로그램도 공유한다.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한 부탄캔 파열로 부터 인명피해를 낮추는 안전 환경은 마련되지만, 사용자가 부탄캔 안전수칙을 준수해야만 부탄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탄캔 사고예방 대국민 홍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연도별 국내 부탄캔 생산 현황]

[단위 : 천개]

구분

2204

`21

`20

`19

711,822

77,508

218,819

211,015

204,480

일반캔

573,280

39,953

168,564

183,836

180,927

파열방지캔

138,542

37,555

50,255

27,179

23,553

점유율(%)

19.46

48.45

23

12.88

11.5

* 파열방지* 부탄캔의 시장 점유율은 `20년까지 약 10% 대를 유지 후, 장착 의무화가 추진되면서 `224월 기준으로 48% 대로 증가

◆ 도시가스 배관망 수소혼입 추진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정부가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내놓은 사업이 도시가스 배관망 수소혼입이다. 도시가스 공급 배관망에 2026년까지 최대 20Vol% 수소를 혼입하겠다는 목표다.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가 혼입되는 만큼 메탄 사용량을 줄여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관망과 수요처의 안전성 검증 실증을 통해 안전기준을 제도화해 수소공급 확대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도시가스 배관망에 20Vol% 수소혼입에 따른 효과는 연간 CO2 765만톤 감축 및 탄소배출권 연간 2708억원의 효과가 기대된다.

가스안전공사는 수소혼입 안전성 및 호환성 검증에 필요한 Lab 테스트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2023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국가 R&D(에특회계) 수행 예산 확보 방안을 마련, 추진하고 공급배관 및 부속설비, 연소 및 누출성능, 기기 및 부품성능, Pilot 및 실증 안전기준도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 1월부터는 한국가스공사 평택 인수기지(고압시설)에 가스공급 부속설비 안전성 확인을 위한 실증 Pilot Test 설비를 구축하고 2024년 1월부터 가스안전공사 에너지 안전실증연구센터(중·저압시설)에 Pilot Test설비를 구축,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설계, 예산 등 설비 구축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검토하고, 단계별 혼입 비율을 상승해 테스트를 실시할 방침이다.

내년 6월 이후에는 수소혼입 행위 및 혼입시설 설치금지, 1Vol% 이하 불순물 허용에 대한 특례 등 실증을 위한 규제특례 방안도 수립한다.

한국가스공사와 협의를 통해 내년 7월이후 제주지역 내 한림복합발전소를 대상으로 고압배관에 대한 실증을 실시하고 도시가스사 및 지자체와 협의해 2024년~2026년 충남, 경북, 광주 등 권역별 중압배관에 대해 실증한다.

2026년에는 실증결과에 따라 법령 및 KGS코드를 개정해 수소혼입을 제도화할 계획이다. 실증 결과를 반영해 기반 시설, 제품분야 KGS 코드를 개정하는 것은 물론 도시가스 사업범위, 도시가스 종류, 혼입설비 설치 허용, 혼입농도 등 관련 규제를 정비한다.

곽채식 안전관리이사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 탄소중립을 위해선 도시가스 배관을 이용한 수소혼입은 불가피하다”라며 “그러나 수소 특성을 고려한 도시가스 공급·사용시설 및 설비에 대한 안전성 확인이 필수이며, 국민 불안감 해소 및 수용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LPG용기 사용가구 시설개선사업

LPG호스 사용가구를 대상으로 사고에 취약한 고무호스를 금속배관으로 교체하고 안전점검을 통해 가스안전을 확보하려는 가스안전공사의 시설개선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2020년 8월 5일 고법이 개정, 2030년 12월말까지 LPG호스 사용주택의 금속배관 설치가 의무화됐다.

이에 가스안전공사는 LPG호스 사용가구의 LPG호스를 안전한 금속배관으로 교체 지원하기 위해 LPG호스를 금속배관으로 교체하고 퓨즈콕 등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시설개선사업을 벌이고 있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LP가스 호스사용가구 41만 4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국비 40%, 지방비 40%, 사용자 자부담 20% 매칭으로 사업을 추진중이다.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10년간) 중 가스사고 감소율을 적용하면 주택 LPG사고는 연평균 7.6% 감축, 2021~2030년간 총 187건의 사고가 감축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2020년 KPC의 분석에 따르면 1조 237억 2000만원의 사회경제적 편익이 예상된다.

                [LPG고무호스 사용가구 금속배관 교체 계획]

(단위: 가구, 억원)

구 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구수

414,000

14,000

34,000

34,000

37,425

37,425

51,425

51,425

51,425

51,425

51,450

예산

1,057.2

36

87

87

96

96

131

131

131

131

131.2

국비

436.4

15

36

36

39.9

39.9

53.9

53.9

53.9

53.9

54

지방비

413.9

14

34

34

37.4

37.4

51.4

51.4

51.4

51.4

51.5

자부담

206.9

7

17

17

18.7

18.7

25.7

25.7

25.7

25.7

25.7

◆ 차단기능형 LPG 용기밸브 시범사업

IMF이후 고의사고, 시위 등에서 LPG용기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사회 문제화되면서 LPG 사용 환경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2007년 정부정책으로 차단기능형 LPG 용기밸브가 도입된 이후 고의사고는 72%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는게 가스안전공사의 설명이다.

2020년 7월 신제품이 개발된 이후 2020년 10월~2021년 4월까지 강원 영월의 에안센터에서 실증시험하고, 2021년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부산(960개), 대구(1320개), 경기(700개), 강원(1020개)권역에서 차단기능형 LPG 용기밸브 총 4000개에 대한 시범사업이 이뤄졌다. 시범사업에는 재검사기관 5개사, LPG충전사업자 7개사, LPG판매사업자 30개사가 참여했다.

시범사업결과, 차단기능형 LPG 용기밸브에서는 단 한건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가스안전공사는 올해 4월~5월 시범사업 결과를 공유하는 한편 관련규정 개정을 위한 제조사 및 관련업계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지난 4월 20일 제품양산을 위한 제조사 간담회를 여는데 이어 6월 15일 서울지역본부에서 산업부 및 관련협회 통합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5월~7월에는 KGS 코드와 KS 규정 개정에 나선다. 5월중 KGS AA312 CODE 개정(안)을 제출하는 한편 기술표준원에 국내 4개사 KS품에 대한 KS개정(안)도 제출할 계획이다.

8월부터는 제조사별 신제품 보급 등 전국보급에 나서고, 전국 보급 후 10월중 유통 중인 밸브에 대한 수집검사 등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