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정부가 탄소중립과 수소경제 달성을 위해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수소환원제철(HyIS) 2021 포럼’ 축사에서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저탄소 경제와 수소 경제로의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지하고,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는 한편 수소경제를 확산시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청정수소를 위해 2050년까지 그레이수소를 블루수소와 그린수소로 100% 전환하고, 그린 수소의 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릴 것이라고도 했다.

우리는 수소경제를 이행하는데 있어 궁긍적으로 블루수소, 그린수소 등 청정수소를 나아가길 염원한다. 그러나 자칫 수소시대가 당장 눈앞에 다가올 것처럼 잘못된 인식이 확산되고 에너지정책에 그대로 반영되는데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직 수소기술은 개발, 상용화하기까지 도전적인 많은 과제가 남아있는데다 수소를 얻는 과정에서 만만치 않은 양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수소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목표와 현실을 잘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탄소중립위원회가 발표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도 마찬가지다. 1,2안은 차치하고서라도 3안은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에 대해 재검토해야 한다.

3안에 따르면 2050년에도 수명이 다하지 않은 석탄발전소 7기를 강제로 멈추고, LNG 발전도 전량 중단하는 방식이다. 1안과 2안에서 LNG 발전 비중이 각각 8.0%, 7.6%인데 여기서는 완전한 탄소중립을 위해 이마저도 줄이겠다는 것이다.

우리는 탄소중립과 수소경제로 원활한 전환에 공감하지만 전력계통 문제점, 브릿지 연료로서의 LNG의 역할, 정부의 에너지전환사업과의 연계성,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등 수많은 난제들에 대해 충분한 논의를 거쳐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