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안 석탄·2안 LNG 유지...'완전한 탄소중립' 불가능
'신재생 확대' 3안, "넷제로 가능하나 현실성 떨어져"

[에너지신문]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시나리오 초안을 5일 공개했다. 초안은 3가지 시나리오로 구성됐으나, 완전한 탄소중립이 가능한 안은 단 1개에 그쳤다.

이날 위원회가 공개한 3개 시나리오는 석탄발전을 유지하는 1안, 석탄발전 대신 LNG를 유지하는 2안, 화석연료 이용을 전면 중단하는 3안으로 구분된다.

먼저 1안은 2050년 이후에도 수명이 남은 석탄발전소 7기를 유지하며 2안은 석탄발전을 중단하는 대신 그 공백을 LNG로 대체한다. 3안은 재생에너지 공급비중을 보다 확대, 석탄과 LNG 발전을 전량 중단하는 것이다. 각 시나리오에 따른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1안 2540만톤, 2안 1870만톤, 3안 0톤(넷제로)으로 전망된다. 전기차 및 수소차 비중의 경우 1안과 2안은 각각 76%, 3안은 97%까지 확대된다.

▲ 지난 5월 '2050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 모습.
▲ 지난 5월 '2050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 모습(사진제공: 청와대).

시나리오 주요 내용을 부문별로 나눠보면, 먼저 전환부문은 2018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총 2억 6960만톤을 대안별로 82.9%에서 100%까지 감축해 1안은 2050년 배출량이 4620만톤, 2안은 3120만톤, 3안은 0으로 안별 격차가 가장 크다.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경우 2018년 9810만톤에서 1120만톤(1,2안)으로 줄고 3안을 적용할 경우 280만톤으로 크게 줄어든다.

2050년 건물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는 2018년 대비 최대 88.1% 감축된다. 이에 따라 1안과 2안은 710만톤, 3안은 620만톤이다. 단, 3안은 열원으로 재생에너지(수열)와 지역난방 등 도시가스 등을 추가 감축하는 방안을 전제로 한다.

농축산 부문에서는 2018년 2470만톤 대비 최대 37.7%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 1안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710만톤, 2안과 3안은 1540만톤으로 전망했다. 메탄 및 아산화질소 발생을 억제하는 영농법을 도입하고 폐사율 감소 등 축산 생산성 향상, 단변화 및 대체가공식품 확대 등 식생활 개선 등이 이뤄질 경우 배출량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폐기물의 경우 1회용품 사용 제한, 재생원료 사용 등을 통해 2050년 배출량은 2018년 대비 74% 줄어든 440만톤으로 전망했다. 흡수원을 통한 온실가스 흡수량은 2018년 4130만톤이며 강화된 산림대책이 없을 경우 2050년 산림의 흡수능력은 1390만톤으로 전망된다.

이밖에 CCUS(온실가스 포집 및 저장) 투자확대, 기술개발 등을 통해 위원회는 1안에서 9500만톤, 2안 8500만톤, 3안 5790만톤의 온실가스를 각각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LNG 등에서 추출을 통해 수소를 공급할 경우 1안과 2안에서 각각 1억 3600만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될 전망이며, 그린수소만을 이용하는 3안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0이 된다.

윤순진 탄소중립위원회 위원장은 "각각의 대안은 석탄 발전 유무와 전기수소차 비중, 건물 에너지관리, 탄소포집 이용 및 저장(CCUS), 흡수원 확보 등 핵심 감축 수단을 현실적 여건과 전제 가정에 따라 다르게 적용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위원회는 3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관계자 및 일반국민 의견수렴을 거쳐 10월 말경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위원회 발표를 두고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반응들이 쏟아지고 있다.

에너지 업계의 한 관계자는 "1,2안은 2050년까지 완전한 탄소중립을 이뤄내지 못하고, 3안은 석탄과 LNG를 완전 배제하는 것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정의행동은 성명을 통해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이 실현됐을 때의 미래상과 부문별 전환과정을 전망했어야 했다"며 "숫자만 나열돼 있을 뿐, 사회 시스템이 어떻게 바뀌는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탄소중립위원회는 이들 3개 안 만이 최선이자 정답인 양 국민들을 기만하는 행위를 중한하라"며 "2050 탄소중립을 최소한의 목표로 두고 그 전환의 과정을 정의롭게 설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