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문재인 대통령은 우리나라를 2050년까지 탄소중립 국가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탄소배출량 ‘제로’를 뜻한다. 그러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에너지수입국이자, 제조업을 국가경제의 기반으로 하는 우리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과제다.

많은 전문가들이 정부가 탈원전을 가속화 하는 동시에 탄소중립을 선언한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한다. 안전성에 대한 우려나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를 떠나 가동 중 탄소배출이 거의 없는 원자력발전을 줄이는 것이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긍정적인 요인이 아님은 누가 봐도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는 발전원은 무엇일까? 일단 전체 발전원 가운데 탄소배출 70% 이상을 차지하는 석탄은 논외로 하고, LNG의 경우 석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탄소를 배출한다.

재생에너지인 태양광, 풍력은 현 시점에서 간헐성이나 발전효율과 같은 기술적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향후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게 되면 그만큼 전력 수요도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감당하려면 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2050 탄소중립 선언 이후,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통해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실현 불가능한 도전은 아니라 해도, 상당한 고난도의 도전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인 만큼 정부가 이를 어떻게 실행해 나갈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