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석주 기자
▲ 신석주 기자

[에너지신문] 과거 MB정부의 큰 오점 중 하나는 해외자원개발의 실패였다. 그리고 이번 21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 국정감사에서도 해외자원개발 실패가 얼마나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주는지에 대해 다시 확인하는 장이 됐다.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원공기업(석유?가스?광물) 3사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실패로 부채비율이 2008년 73.3%에서 2019년 3415.5%까지 치솟았고, 이 기간 이자 비용만 4조 3429억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은 가스공사는 현재 13개국에서 25개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추진하며 총 169억달러를 투입했음에도 이 중 회수한 금액은 40억달러(회수율은 23.7%)에 불과, 누적된 손실액만 약 42억달러에 달한다고 가스공사의 해외자원개발을 문제 삼았다.

물론 이를 ‘반면교사’ 삼자는 것은 충분히 이해된다. 문제는 해외자원 개발 전체를 부정하는 분위기는 ‘미래’를 위해 좋지 않다는 것이다. 이제 실패를 벗어나 또다른 시작점을 찾아야 할 시기가 아닐까 싶다.

전 세계가 4차 산업이 구체화되면서 자원 확보는 이제 국가 경쟁력과 직결될 만큼 필수요소가 됐다. 에너지 자원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해외 에너지 자원 탐사·개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해외자원개발의 필요성과 자원개발 사업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지난 7월, 해외자원개발 혁신 TF팀의 출범이다. 이들은 해외자원개발의 전반적인 체질개선을 위해 뭉친 민간 중심의 TF로, 자원개발 기능 회복을 위한 논의를 펼치려 하고 있다. 해외자원개발은 실패 확률이 높다는 것을 그간 우리는 뼈저리게 배웠다. 하지만 실패에 대해 안다는 것은 그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센스를 지녔다는 것이 아닐까?

그렇기 때문에 이제부터라도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정부 차원의 광범위한 지원과 전문성 및 장기간 쌓아 놓은 네트워크를 활용, 사업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해 취사선택과 함께 리스크 분산을 위한 수단 및 사업 안정성 확보 등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