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드맥킨지社, 2040년 수소별 생산비용 전망
정책 지원 실현되면 생산가격 더 떨어질 것

[에너지신문] “각국 정부 정책과 기업 투자, 사회적 지원 정도를 감안하면 그린수소 생산비용은 2040년까지 최대 64%까지 하락할 것이며 향후 몇 개월 내 추가적인 정책 지원이 실현된다면 생산비용은 훨씬 더 빠르게 감소할 것이다.” 

영국에너지 전문시장조사업체 우드맥킨지(Wood Mackenzie)사는 수소별 생산비용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다.
 
우드맥킨지사는 최근 ‘Hydrogen production cost to 2040’ 보고서를 발표하며 코로나19로 인한 불황에도 불구하고 수소시장은 성장세로 수소 생산비용 그래프에서 2020년은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드맥킨지는 초기 수소시장 형성에 수많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미래에 어떠한 형태로든 저탄소 수소경제가 구축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현재 에너지 전환은 매우 역동적이며 저탄소 수소시장 규모의 증가 추세를 감안하면 2020년대는 수소시장 성장을 위한 중요한 10년이 될 것이라 강조했다.

지난해 10월, 그린수소 시장에 대한 첫 번째 분석을 발표한 바 있는 우드맥킨지는 보고서 발표 이후 수소시장에는 큰 변화의 물결이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그린수소 프로젝트의 경우 수전해 설비용량이 지난해 10월 기준 3.2GW 수준이었지만 현재 15GW로 10개월간 4배나 성장했다. 이는 초기 수소시장이 향후 충분히 크고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규모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0개월 동안 2030년까지 총 48GW의 수전해 설비 배치를 목표로 하는 100MW급 이상의 그린수소 프로젝트 22건이 발표됐고, 올해 연말에는 20MW의 역대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가 완료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드맥킨지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3GW의 최대 프로젝트 개발계획이 추가로 발표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수전해 제조공장은 1GW급 2개가 건설 중이며, 최근 1개 제조공장 건설 계획이 추가 발표된 바 있다.
 
또한 유럽 위원회와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 등 주요국에서는 향후 10년간 수소시장을 엄청나게 확대하려는 구체적인 수소전략을 발표하며 수백 개의 수소충전소와 연료전지 버스를 배치할 계획이라고 우드맥킨지는 덧붙였다. 실제 BP, Shell, Repsol 등도 순제로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해 저탄소 수소 프로젝트 추진을 약속하기도 했다. 

우드맥킨지는 세계 에너지 시장이 저탄소 수소를 채택하기 위한 가장 큰 장벽은 저탄소 수소생산 비용이 높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린수소 생산비용은 2040년까지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우드맥킨지는 2040년까지 수소별 생산단가 전망도 분석했다. 우선 그린수소 생산비용은 2040년까지 최대 64%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화석연료 기반 수소와 같아질 것으로 보이며, 일부 프로젝트 또는 독일 등의 유럽 국가에서는 2030년까지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향후 화석연료의 가격 상승으로 그린수소의 경쟁력이 높아져 몇 년 동안 이 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킬 것이라 언급했다.

반면 그레이수소의 경우 다른 생산방식의 수소에 비해 생산비용이 현재 가장 낮지만 천연가스 가격 상승이 예측됨에 따라 중국과 같은 가스 수입국에서는 2040년까지 82%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 등에서는 2040년까지 그레이수소가 가장 낮은 가격으로 유지될 것으로 분석했다.
 
블루수소 생산단가는 2040년까지 59%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블루수소의 생산비용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프로젝트가 배치돼야 한다고 평가했다. 맥킨지는 블루수소의 성공은 높은 비용과 프로젝트 취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CCS기술의 성공과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레이수소와 마찬가지로 생산단가의 대부분은 천연가스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브라운수소 생산단가는 2040년까지 35%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현재 중국을 제외하고는 브라운 수소생산에 사용되는 석탄 가격이 천연가스 가격보다 더 비싸기 때문에 향후 브라운수소는 높은 비용과 환경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