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6개 자동차 부품기업 친환경차 사업재편계획 승인
위기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대비 사업재편 활성화 방안 논의

[에너지신문]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테마형 수요발굴을 통해 ‘내연기관차 → 수소·전기차’로 진출하는 자동차 부품생태계 재편에 발벗고 나섰다.

▲ 수소·전기차 진출 산업생태계 사업재편 승인 현황.
▲ 수소·전기차 진출 산업생태계 사업재편 승인 현황.

산업부는 24일 ‘제26차 사업재편계획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한 총 10개 기업의 사업재편계획을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기업 중 9개는 지난해 기업활력법 개정(‘19.8월 개정, 11월 시행)으로 과잉공급 유형 이외에 새로 도입된 ’신산업진출‘ 유형으로, 기업활력법 누적 승인기업은 총 128개, 신산업진출 유형 기업은 총 14개 업체로 늘어나게 됐다.

산업부는 이번 승인기업 10개사의 사업재편 기간(5년) 동안, 신산업분야의 기술개발 또는 신제품 양산을 위해 약 1000여명을 신규고용하고, 총 2300억원을 신규투자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재편 계획은 국가 경제적 중요도가 큰 주제에 대해 소관부서·유관단체 등과 협력해 수요를 집중발굴하고 정책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최초로 시도된 ‘테마형 사업재편’ 방식으로, 산업생태계 내 여러 개의 기업군이 동시에 사업재편을 추진할 경우 산업구조 혁신 파급효과가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재편에서 주목받는 점은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차 산업생태계로 진출’하는 자동차부품 6개사(중견 4, 중소 2)의 사업재편을 일괄 승인했다는 점이다. 

산업부는 승인기업들이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GVC)에서 첨단부품 공급 핵심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했다.

심의 통과 기업들을 살펴보면, ‘내연기관차→ 수소·전기차’ 테마로 수소연료전지(2개), 냉각조절장치(1개), 모터(1개), 배터리(1개), 차체(1개) 분야의 총 6개사가 승인을 받았다.

(주)상아프론테크는 엔진부품 등 다양한 품목을 생산하는 중견기업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수소연료전지(Stack)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과감한 기술 개발 및 신규 투자를 추진하며 냉각조절장치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는 중견기업인 인지컨트롤스(주)는 열에너지가 많이 발생하는 연료전지(Stack)에 적합한 정밀 온도제어 및 고응답성의 냉각조절장치 개발 및 제조 사업에 진출했다.

또한 덕양산업(주)는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판매하는 중견기업으로, 친환경차의 배터리 경량화 기술개발 및 대량생산을 통해 새로운 지속 성장가능 엔진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고압주조 기업인 (주)코넥은 기존 철에서 알루미늄을 사용, 경량화·내식성·방열이 우수한 친환경차용 구동계 하우징(외함, 外函) 제조 기술개발 및 양산설비 구축을 추진하고, (주)제이앤티지는 국내 최초로 연료전지(Stack)의 중요 부품인 기체확산층(GDL)의 국산화에 나선다. (주)새한산업은 알루미늄 가공공법을 개발, 친환경차 차체부품 시장에 신규 진출한다.

이외에도 무인항공기, 폴더블폰, 스마트홈, 스마트 의료기기 등 4개 기업이 국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유망 신산업으로 본격 진출한다.

산업부는 사업재편을 통해 신산업으로 진출하는 기업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존 전담기관인 대한상의 기업활력지원센터와 함께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을 지난 4월 사업재편 전담기관으로 추가 지정, ‘기업활력지원 태스크포스(TF)’를 출범, 앞으로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신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업지원 활동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이날 사업재편위원회 위원들은 산업의 대전환기를 맞아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사업재편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며 사업재편 승인 문턱을 낮추고, 승인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산업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승인기업 혜택을 대폭 강화하는 등 제도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제26차 사업재편 위원회를 주재한 이홍 민간위원장은 “사업재편 테마승인을 신호탄으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부품 산업의 혁신과 구조전환이 더욱 빠르게 확산되길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변혁의 시기에 우리 주력산업의 고도화와 새로운 기회창출을 위해서는 선제적 사업재편에 대해 적극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므로, 향후 사업재편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정책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