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여수·울산, 먼 생산거점…높은 유통비용
전체 수소 90% 이미 수요처 있어 물량 빠듯

윤희성 기자.
윤희성 기자.

[에너지신문] 수소(H₂)를 수송에너지로 사용하자는 정부의 정책은 국민들에게 환영을 받고 있다. 정부가 수소차 구매 국민에게 지급할 보조금 이상으로 수소차 주문이 쇄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공기와 반응해 물이 되는 수소는 수송에너지원 중 이산화탄소(CO₂),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 대기환경을 위협하는 각종 화학물질에서 자유로운 궁극의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정부의 의지에 국민의 수용성까지 어우러지면서 '수소경제'가 날개를 단 것으로 보이지만 '수소경제'의 성공에 가장 중요한 이슈인 수소를 확보하는 과정에서는 넘기 힘든 산이 많다. 

국내에서 생산·유통되는 수소의 90%가 나프타 크래커(naphtha cracker)를 보유하고 있는 석유화학사가 책임지고 있다. 나프타 크래커를 보유한 LG화학, 롯데케미칼, SK종합화학, 한화솔루션, 대림산업, 대한유화 등은 충남 대산, 울산, 여수 등에서 수소를 생산하고 있다.  

'수소경제'의 핵심이 도심 대기환경 개선이기에 수소의 생산거점이 수도권에서 멀다는 건 단점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충남 대산, 울산, 여수 등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소의 유통 비용은 평균 ㎏당 1만원 이상이다. 

원유(crude oil) 도입 및 정제, 나프타 크래킹, 수소 정제 등 수소의 생산과정을 감안하면 고가의 유통 비용은 지나치게 높은 소비자가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수송에너지에 부과되는 높은 세금까지 수소 가격에 더해지면 가격 경쟁력에서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또 석유화학사들은 나프타 크래킹 과정에서 생산된 수소를 고순도 수소로 정제해 석유화학제품 생산을 위해 자체 소비하고 있어 정부가 원하는 규모로 수소를 수송에너지로 공급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또 일부 잉여 수소는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인근 정유사로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수소경제'의 핵심인 수소를 확보하는 일은 정부의 의지만큼 간단치 않다. 

수소를 액화천연가스(LNG)나 액화석유가스(LPG)로 만들고 있기는 하지만 정부가 원하는 '수소경제'의 결과를 이끌어 낼 만큼은 아니다.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얻을 수 있지만 이는 고가의 촉매 문제로 사업성이 아직 확보되지 않고 있다.

정부의 '수소경제'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수소를 확보하는 것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충전소 인프라 구축과 수소연료전지차에 대해서는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정작 수소경제의 핵심 플레이어인 석유화학사들과는 적극적인 협업에 나서지 않고 있다. 정부는 국민들이 실현되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는 '수소경제'가 요란한 빈수레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