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석주 기자
▲ 신석주 기자

[에너지신문] 최근 들어 정부가 ‘수소경제시대 로드맵’ 실행을 위한 다채로운 방안들을 연달아 제시했다.

지난 14일 산업부와 현대차, 창원시,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쓰레기수거용 5톤 수소트럭과 수소택시 시범사업을 합의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20일에는 3.5톤 이하 소형화물차는 전기차로, 5톤 이상 중·대형화물차는 수소차를 보급한다는 ‘수소화물차 보급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무공해’ 화물차 사업을 본격 추진한 것이다.

또한 부산과 대전광역시 등 지자체 5곳에 수소추출시설 구축해 수소차 5만대 분량인 7400톤의 수소 공급 여력을 추가 확보하기로 한데 이어 수소산업진흥·수소유통·수소안전 전담기관 선정을 위한 공모 절차에 착수, 수소경제를 이끌 ‘수소 전문기관’도 만든다.

4년간 총 100억원을 투입해 한국자동차연구원과 함께 내년 말부터 창원시에서 수소버스용 충전소 2곳을 실증 운영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수소충전소의 부품 국산화율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고 했다. 2040년까지 수소승용차 275만대, 수소버스 4만대, 수소충전소 1200개소를 구축한다는 정부 목표는 확고하다.

그 어느 때보다 수소경제 실행을 위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 정부는 이것이 수소 모빌리티 확산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속도가 빨라진 만큼 디테일을 놓쳐서는 안 된다. 바로 시민들이 ‘수소는 안전하다’는 인식이 동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최근 부산동구청에서 열린 수소충전소 주민설명회에서는 “집 앞에 수소충전소가 생기는데 반길 시민이 있겠느냐”며 반발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그만큼 아직 시민들의 수소에 대한 수용성이 부족하다는 반증이다.

따라서 정부는 수소인프라 구축에 속도감 있게 진행하는 동시에 수소 안전성 알리기는 긴호흡으로 인내심을 갖고 추진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