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충전소 33곳 운영…지난해 목표치 크게 밑돌아
인허가·부지선정 등 발목 잡아, 규제·인식 전환 있어야

[에너지신문] 정부는 지난해 1월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 발표하며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이를 통해 미래 신산업 성장,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 해결, 에너지 자립 등을 실현을 목표로 삼았다. 

▲ 현재 전국 고속도로에는 8개 수소충전소가 운영 중이다.
▲ 현재 전국 고속도로에는 8개 수소충전소가 운영 중이다.

수소사회 진입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기술이 바로 수소전기차?충전소 등 수소 인프라 구축이다. 수소시대 선언 이후 국내 수소차 판매량은 급증했고 수소택시, 수소버스 등 다양한 수소차량도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수소차 판매량은 현대차 기준 3666대로 세계 판매량(6126대)의 60%에 육박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정부의 계획에 따라 수소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에 발맞춰 수소충전소 보급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310기, 2040년까지 1200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2030년 주요 도시에선 20분 내, 고속도로에선 75km내 충전소를 도달할 수 있고 2040년엔 각 15분, 50km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복안이다.

수소전기차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충전소는 수소 저장 및 운송 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수소사회로 가기 위한 교두보라 할 수 있다.

▶ 현재 총 33기 운영…여전히 부족한 충전 인프라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33곳(연구용 8곳 포함)에 불과하다. 서울 3곳·경기 7곳·인천 2곳·부산 2곳·광주 3곳·대전 1곳·울산 6곳·충북 1곳·충남 2곳·경북 1곳·경남 4곳·전남 1곳 등이다.

큰 걸음으로 증가하는 수소차에 비해 수소충전소 숫자는 더디기만 하다. 때문에 대다수 수소 차 이용자들은 충전소 부족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 여전히 5개 지자체(대구, 세종, 강원, 전북, 제주)에는 아직 수소충전소가 없는 등 충전 인프라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지난해 10월 정부는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발표하고,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310곳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리고 지난해 86기 구축을 목표로 내세웠다. 하지만 그 계획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1월 기준 실제 운영 중인 수소 충전소는 34곳이다. 지난해 구축 목표치의 절반도 채 안되는 수준이다. 현재 추가로 건설 중인 20기의 수소 충전소를 더해도 54곳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수소충전소 확대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우선 환경부는 올해 일반 수소충전소 27개소(405억원)와 수소전기버스 전용 13개소(546억원) 등 총 40개소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기 위해 951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국토부도 고속도로 휴게소 수소충전소 구축 비용으로 올해보다 23억원 증액한 98억원으로 책정, 수소충전 인프라 확충에 앞장 선다. 

현재 고속도로에는 지난해 4월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를 시작으로 경기 하남, 여주, 백양사, 상주, 함안 등 현재 8개가 운영 중이며, 올해 안에 춘천휴게소, 평택휴게소, 행담도 휴게소, 충남 망향휴게소, 입장휴게소 등 12개소 구축 중에 있다. 또한 아직 착수에 진입하지 못한 2개소까지 신규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국토부는 지난 4월 ‘2020년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을 공고, 민자고속도를 제외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를 대상으로 14개 사업자를 선정해 내년까지 총 34개소 수소충전소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수소충전소 설치보조금은 올해 예산(1기당 7억 5000만 원, 총 75억원)에 처음으로 반영돼 고속도로 휴게소에 1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추경을 통해 3기 예산도 확보했다. 2019년 본예산 10기와 추경 3기 등 총 13기는 민간 사업자 선정을 위해 공모 중이며, 사업자 선정 후 올해 중 착공을 추진한다.

업계들이 본 수소충전소 구축 상황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충전소 제작업체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하이넷을 통한 입찰로 정부의 수소충전소 계획에 발맞추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PG)와 도시가스를 수소로 변환하는 기술을 지닌 제이앤케이히터는 서울 상암수소스테이션 업그레이드 공사와 인천공항 제2터미널 수소충전소 건설사업을 수주했다. 이밖에 고양시 덕은동, 서울 강남 탄천, 용인 에버랜드 등 총 10개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중 현재 구축 중인 곳은 대전과 창원, 서울 상암 뿐이고, 나머지는 인허가 지연으로 구축을 기다리고 있다. 제이앤케이히터는 하반기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발맥스코리아는 올해 총 6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전주, 수원, 군산 등 전국 각지에 구축할 예정인데, 이중 전주 수소충전소만 구축이 진행중이고, 수원 수소충전소는 6월 중 구축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외 군산, 신탄지, 인천 2곳은 하반기 구축을 위한 인허가 문제가 매듭짓길 기다리고 있다. 

린데코리아는 고속도로 수소충전소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다. 올해 경부고속도로 입장휴게소(서울 방향)와 망향휴게소(부산 방향), 서해안고속도로 행담도휴게소 및 중부고속도로 음성휴게소(하남 방향)에 설치할 예정이다.

최근 인천공항 내 국내 최대 규모의 고사양 수소충전소 2기를 제공하기로 업무협약을 체결한 에어리퀴드는 인천, 광주에 수소충전소를 완공하고, 운영을 위한 막바지 준비에 들어갔다. 또한 오는 12월 운영을 목표인 춘천휴게소 내 수소충전소도 에어리퀴드 제품이 투입된다.

기욤 코테 에어리퀴드 대표이사는 “국내 수소충전시장에서 에어리퀴드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국내 수소경제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이밖에 다양한 업체들이 국내 수소충전 인프라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인허가 문제’ 수소충전소 구축 발목 잡다
업계에서도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수소충전소를 운영하는 곳은 좀처럼 늘지 않고 있다. 모처럼 활발하게 진행 중인 수소경제가 지지부진한 수소충전소 설치탓에 주춤거리고 있는 것이다.  

▲ 가스공사와 김해시는 가스공사 부산경남지역본부에서 김해 제조식 수소충전소 착공식을 가졌다.
▲ 가스공사와 김해시는 가스공사 부산경남지역본부에서 김해 제조식 수소충전소 착공식을 가졌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인허가’라는 장애물을 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부지선정과 지역 주민의 반대도 발목을 잡고 있다.

수소업계에서는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부지를 선정해도 각종 관련 인·허가 문제를 해결하느라 완공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한다. 또한 “대부분 연내 완공을 목 했지만 관련해서 받아야 하는 인·허가가 생각보다 많고, 지역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시의회 동의가 필요한 곳도 있어 설립 계획이 지연되고 있다는 것.

업계 한 관계자는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기술적인 준비는 다 끝났지만. 인허가 부분이 계속 지연돼 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지역주민의 반발로 제동이 걸린 곳도 있다. 서울시 강서공영차고지에 구축하려는 수소충전소는 폭발성이 강한 위험한 물질인 수소를 생산하는 기지를 주변에 둘 수 없다는 주민 반발에 부딪혀 포기해야 했다. 원주지역 수소충전소 구축도 사업 설명회조차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무산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여전히 수소에 대한 ‘안전 불감증’이 충전소 건립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부지 선정에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까다로운 부지선정 조건이다. 수소충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수소충전소 구축이 가능한 단독 부지 면적은 약 991m²(300평) 이상이어야 하고 △공동주택과 수평거리 25m △어린이놀이터, 보육시설, 유치원, 경로당, 의료시설과 수평거리 50m △학교 출입문으로 부터 직선거리로 50m 이내 등 여러가지 규제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도심에서 충전소 구축은 비싼 땅값을 고려하고, 안전상의 규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건은 쉽게 찾기 어렵다.

한 관계자는 “인천공항의 경우 선정된 부지가 비행 노선 문제로 갑자기 주유소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생겨 지연되고 있고, 어떤 지역은 그린벨트 지역과 맞물려 허가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또한 수소충전소가 지연된 이유는 코로나19도 한몫을 했다. 충전소 관련 기자재인 고압압축기, 고압저장용기, 냉각장치, 컨트롤러 등 압축패키지의 기술 검토를 통해 적합판정을 받아야 하는데, 코로나19로 기술 검사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어 완공이 더뎌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 국면에 들어서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한동안 주춤했던 수소충전기 설립도 다시 탄력을 받을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까지 수소충전소 167개를 누적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현재 착수 중인 수소충전소는 60여개 내외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보인다. 때문에 정부가 그토록 구현하려는 수소경제 이행을 위해서라도 수소충전소에 대한 규제와 인식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