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발전자회사 공동개발‧두산중공업 제작사 참여
유지보수 요청 신속대응 기대...2025년까지 5기 교체

[에너지신문] 가스터빈의 핵심 설비인 기동장치가 국산화에 성공했다. 

한전은 23일 그간 외국제품에 의존하고 있던 가스터빈 기동장치를 발전자회사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제작사로는 두산중공업이 참여했다.

가스발전은 석탄화력 대비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미세먼지 배출이 10~12%에 불과,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가스터빈은 복합화력발전소 건설비용의 30∼50%를 차지하는 핵심 설비로 이번 국산화의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가스터빈 기동장치는 회전운동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이 초기에 일정 속도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장치로 지금까지 GE, ABB, TMEIC 등 해외 제작사들이 독점 제작해왔으며 국내 발전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 가스터빈 기동장치를 컨트롤하는 모습.
▲ 가스터빈 기동장치를 컨트롤하는 모습.

한전은 가스터빈 기동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회전체의 속도제어 알고리즘과 같은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를 확보한 후 기동장치 설계를 수행했다. 두산중공업은 한전의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기동장치의 제작을 담당했다.

모의 실험설비를 활용해 성능시험을 마친 기동장치는 지난 1월 보령복합발전소에 설치돼 2개월간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전력거래소가 요구하는 기동소요시간을 만족함에 따라 이달부터 본격적인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이번 가스터빈 기동장치 국산화를 통해 해외 제작사보다 신속하게 발전사의 유지보수 요청에 대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한 국내 발전환경에 맞는 시스템 개선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 5개 발전사가 운영하는 기동장치는 총 26기로 노후화된 설비를 대상으로 우선 2025년까지 5기를 국산화 기술로 교체할 계획이다.

석탄발전을 대신해 가스발전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가스터빈 기동장치의 수요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가스터빈 기동장치의 국내 시장 규모는 연간 1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시장 규모는 2018년 58억달러에서 연간성장률 6%를 기록, 2026년 88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한전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가스터빈은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중 16대 에너지 중점기술에 포함된 미래 핵심기술"이라며 "가스터빈 기동장치의 성공적인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해외수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