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의무구매 확산 위해 공공기관 대상 설명회 개최
올해 공공분야 친환경차 구매비중 70% 이상으로 개선 전망

[에너지신문]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16년부터 매년 공공분야 1200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신차 중 일정비율 이상의 친환경차를 의무적으로 구매토록 하는 ‘공공분야 친환경차 의무구매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10일 공공분야 차량 구매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차 의무구매를 독려, 공공분야 친환경차 구매 확대를 위해 ‘2019년 공공분야 친환경자동차 의무구매 설명회’를 열었다.

한국환경공단 내에 위치한 전기차 충전소
한국환경공단 내 위치한 전기차 충전소

이날 행사는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 및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차량 구매담당자를 비롯해 현대기아차, 르노삼성 등 완성차 제작사, 에너지공단 관계자 등 100여명이 자리해 국내 완성차업체의 친환경차 모델을 소개하고 구매를 상담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2016년 이후 친환경차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고 있다. 2016년 1만 1000대였던 국내 전기차 보급은 2019년 10월 기준으로 8만 3000대로 약 7.5배 이상 증가했고, 2016년 87대에 불과했던 수소차 역시 3951대로 45.5배나 급증했다. 

이러한 친환경차의 급성장은 공공분야 구매의 마중물이 됐다는 것이 산업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공공분야 구매는 2018년 전기‧수소차 누적 판매의 약 10%를 책임지면서, 친환경차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보다 더 빠른 친환경차 확산을 위해 의무구매비율을 2018년부터 50%에서 70%로 상향 조치했다.

산업부에서 제시한 2018년 공공분야 의무구매 실적점검 결과를 보면, 2018년 공공분야(평가대상기관 301개)에서는 총 4356대의 신규 차량(내연기관차 + 친환경차)을 구매 또는 임차했는데, 이중 친환경차는 총 2461대(하이브리드차 987대, 전기‧수소차 1474대)로, 전체 신규 차량의 56.5%를 차지했다. 이는 신규 차량 중 친환경차 구매비중이 2017년보다 6.3%(2017년 50.2%) 높아졌다.

산업부는 공공분야 친환경차 구매 실적 우수기관들을 예로 들며 이 제도의 긍정적인 효과를 소개했다.

우선 우정사업본부는 2018년 구매차량 23대 전량을 전기차로 구매, 중앙행정기관 중 유일하게 친환경차 및 전기·수소차 구매비율 100%를 달성했고, 제주도청 역시 2018년 구매차량 44대 전량을 전기차로 구매, 10대 이상 차량구매 지자체 중 유일하게 친환경차 및 전기·수소차 구매비율 100%를 기록했다,

한전KDN은 2018년 구매차량 75대 중 전기·수소차 56대, 하이브리드 7대를 구매, 친환경차 90.6% 및 전기·수소차 74.6% 구매비율을 달성, 친환경차 구매에 앞장섰다.

이어 올해 공공분야 친환경차 구매실적 역시 전년 대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산업부는 전망했다. 2019년 중간점검 결과, 공공분야(평가대상기관 211개 예상)에서 친환경차 4117대(하이브리드차 1773대, 전기‧수소차 2344대)를 구매(잠정)해 2019년 전체 신규 차량 중 친환경차가 7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친환경차 구매비율이 약 15% 내외 상승할 전망이다.

산업부는 2019년 공공분야 친환경차 구매실적 최종 결과에 대해 내년초 1200개 기관 전수조사를 실시, 내년 상반기 중 발표할 계획이다.

최남호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2022년까지 전기차 누적 43만대, 수소차 누적 6만 5000대의 국내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공분야 구매가 마중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산업부는 “2019년 친환경차 구매실적을 비롯해 각 기관들이 법적 의무구매기준을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하고 실적을 관리‧지원할 계획이며, 관계부처와 함께 친환경차 충전인프라도 빠르게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산업부 관계자는 친환경차 의무구매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관평가 반영 확대 등 기관별 구매 실적에 대한 피드백 강화하고, 다양한 친환경차 개발에 맞춰 의무구매대상을 승용차에서 버스・트럭 등 상용차로 확대하는 등 제도 개선도 적극 검토‧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