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업체 영원한 로망은 중국…시장다변화 정책 필요
한국전기산업진흥회, 협력사 200개 업체 대상

중전기기 업체들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TF를 만들고 전담기구를 발족한 전기산업진흥회는 기업들의 해외진출사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전기산업 제조업계의 효율적인 정책개발 및 지원으로 오는 2020년 500억불 수출강국 달성을 위한 인프라 기반구축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번 설문조사는 송배전(회원사) 및 발전기자재 업체(발전사 협력업체) 등 200개사로 한정해 지난 10월21일부터 26일까지 6일간 실시했다. 응답율은 47.5%(95/200)였다.

주요 조사항목은 △주요 타깃시장, 해외진출 방법, 경쟁력 현황, 애로사항 △정부 및 관련기관의 효율적인 지원방법 및 문제점 △개선사항 및 신규 아이디어 등이다.

1. 타깃시장 분석

국내 전기제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해외시장 타깃지역은 동남아(36.0%) 및 중동(29%) 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이들 전력인프라 사업 확대를 고려한 시장수요 증가폭이 타 지역보다 높고, 기술 및 가격경쟁력에서 해외 경쟁업체와 대등 또는 우위를 점할 수 있음을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지역이 그다음으로 나타났고 유럽과 남미에 대한 관심도 적지 않았다. 서남아 지역과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이 가장 적었다.

타깃지역 중 핵심진출국가

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해외진출국은 중국이 2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UAE(21%), 인도네시아(16%), 미국(11%)순으로 나타났다. 독일, 인도, 베트남, 필리핀, 스리랑카가 같은 비중으로 그 뒤를 이었다.

여전히 시장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이 업체들의 가장 관심있는 국가였다.
이들 국가에 진출가능한 품목은 변압기, MOF, 배전반, 서지보호기, UPS, 절연전선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2. 해외시장 진출방법 및 경쟁력 분석

국내 업체들은 해외시장에 진출할 때 현지 에이전트 및 대기업 Local 수출형태가 대부분(85%)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찰공고를 통한 해외수요처와의 직접거래도 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규모의 수출업체는 직접거래보다는 간접수출이 대부분인데 이는 단품보다는 시스템 세트 중심의 수출 경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업체들의 기술 및 가격경쟁력은 경쟁기업과 대등하나 정보능력 및 발주처와 협상능력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이분야에 대한 정책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진출시 각 분야별 경쟁력을 100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발주처(수요처)협상능력은 74 △사업정보 능력 67 △제안서 작성능력 76 △금융조달능력 69 △기술경쟁력 97 △가격경쟁력 97 △A/S능력 83으로 나타났다.

3. 해외진출시 애로사항

▲ 해외진출시 애로사항

전기설비업체들은 해외진출시 애로사항으로 진출국의 정부규제 및 정책의 불확실성(26%)과 현지 바이어의 능력 부재(22%)로 해외사업 추진동력이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응답이 70% 이상을 차지했다.

진출대상국에 대한 입찰정보 부족이 22%로 나타났고 발주처와의 유대관계 17%, 대금징수 불안정 등 금융관계가 13%로 나타났다.  여전히 이들 국가에 대한 정책지원 개발이 필요함을 반증하고 있다.

4. 정부 및 관련기관 해외 지원정책

▲ 가장 효과적인 지원방법

업체들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정부와 유관기관의 지원사업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유망 전기전 참가 지원사업으로 전체 37%를 나타냈다.

그 다음이 시장동향 등 정보제공(26%) 및 핵심바이어 국내 초청사업(26%)이었고 수출촉진단사업은 11%로 효과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및 유관기관 지원사업 추진시 문제점으로는 수출촉진단 및 전시회만 국한하여 지원하는 문제가 가장 높은 32%로 나타났다. 해외사업 인력양성 지원에 소홀했다는 응답도 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원업체만 지원한다는 응답이 16%, 신규 해외사업 발굴 미흡이 11%로 나타나 향후 수요자가 원하는 해외정책 개발에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드러났다.

▲ 효율적인 지원방법

향후 정부 및 유관기관의 효율적인 지원방법 우선순위는 발주처와 협조체제구축 능력 배양, 정보제공, 자금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업체들은 △해외 전시회 및 세미나 지원율 향상 △바이어 신뢰성 파악 및 해외 진출국 정책정보 제공 △해외전시회 참관의 경우 업체별 1~2인에 한하여 항공비 지원 △단체가 중심이 되어 해외진출이 유력한 중소기업들을 연합해서 별도의 단체(또는 법인체)를 구성하는 문제 △정부 및 대기업 주도 프로젝트에 중소기업의 참여기회 제공 △바이어에게 우수기업 공장 방문 기회제공 및 지원 △핵심바이어 초청시 실제 구매의사가 있는 바이어 초청 △한-EU FTA 때문에 유럽지역으로의 수출을 위해 CE인증이 필수적이나, 인증비용이 중소기업에겐 큰 부담이 됨으로 인증(CE)지원 정책의 개선 요망 △장기적인 해외진출 계획을 수립하여 지원 요망을 기타 지원사항으로 꼽았다. 

전기산업진흥회 유성수 부회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 전기업체들이 진출하고자 하는 주요타깃지역 및 선호국이 아시아에 국한되고 있어 시장다변화 정책지원이 필요해졌다"며 "성숙시장인 아시아지역의 유망 타깃국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병행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 정부 및 유관기관의 해외사업 문제점

이번 설문조사 결과 드러난 사실은 중국, UAE, 인도네시아 등 핵심국 진출에 대한 중소기업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사실이다. 이들 핵심국가 및 지역에 '전기산업 해외지사'를 설립하는 등 중소기업의 입찰정보 제공과 발주처와의 협력체제 구축 지원 등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세계 각국의 유망전기전을 발굴하여 다수 중소기업 참가유도와 더불어 지원비율 상향 조정 등을 통하여 손쉽게 해외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기산업진흥회는 중소기업의 직접 수출은 인력, 비용, 시간 등이 많이 소요됨으로 유망 해외 에이전트 발굴 지원사업과 대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동반 해외진출사업 구상 및 추진 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외에도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시, 기술 및 가격경쟁력은 확보됨에 따라 해외 입찰정보 제공 및 발주처와 협상능력을 키울 수 있는 인재양성이 시급하다는 점이 지적됐으며 정부 및 유관기관의 해외사업 지원제도를 연구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한 후, 정부에 건의하는 문제도 지적됐다. 

시스템별(전력설비 세트)로 구성한 업체 단위별 해외시장 진출방안 검토도 중요한 변수로 떠올랐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