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등 3개 업종은 소량 취급업체 취급량까지 조사

[에너지신문]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화학물질관리법’ 제10조에 따른 ‘화학물질 통계조사(이하 통계조사)’를 ‘화학물질 통계조사 보고시스템(http:/narastat.kr/chemdata2019)’에서 실시한다.

통계조사는 매해 2년 마다 화학물질의 취급과 관련된 취급 현황 및 시설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이번 통계조사는 2018년도 화학물질 취급량이 대상이다.

특히 이번 통계조사는 제조업 등 화학물질을 주로 취급하는 3개 업종의 사업장에 대해 기존 통계조사에서 누락돼 있던 소량 취급업체의 취급량까지 조사해 조사의 신뢰도를 높인다.

‘통계법’ 제22조의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C. 제조업 / D.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이 포함된 것이다.

국가의 화학물질 통계를 촘촘하게 확보하고 취급실태를 파악해 화학사고 대응·예방 및 사업장 취급 안전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소량 취급되는 화학물질의 조사 제외로 인해, 기존 통계조사에서는 국내 등록된 4만 6천여 종의 화학물질 가운데 약 35%(1만 6천여 종)만 보고되고 있다.

3개 업종 이외 나머지 농업 등 16개 업종의 사업장은 지난 통계조사와 마찬가지로 ‘화학물질을 연간 1톤 초과하여 취급할 경우(유해화학물질은 연 100kg)’에만 취급량을 조사한다.

아울러 환경부와 화학물질안전원은 통계조사에 따른 업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업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함께 마련했다.

우선 신고할 화학물질이 없는 경우 통계조사표에 ‘한 번 입력(원클릭)’으로 신고하도록 간소화했다. 사용 중인 화학물질에 변동이 없는 경우 기존에 보고했던 내용을 그대로 불러올 수 있도록 조사 시스템을 개선(통계청 협업)하여 소요시간을 1/3 수준으로 줄였다.

이와함께 다품종 소량의 화학제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시스템 입력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엑셀) 올리기(업로드) 기능을 개선했다.

또한 마감 기한의 접속 폭주 등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업종, 배출시설의 규모에 따라 조사표 제출시기를 분리했다.

환경부는 통계조사에 처음 참여하는 기업들을 위해 관련 교육 및 상담 시설도 크게 확충했다.

조사 기간 중 중앙상담반(센터)(대표번호 1811-7082)를 운영해 기업이 통계조사와 관련된 모든 문의사항을 전문적으로 상담 받을 수 있다.

중앙상담센터는 화학, 화공, 환경 분야에 전문지식을 갖고, 화학물질안전원에서 통계조사 전문교육을 이수한 전문 인력(30명)으로 구성된다.

총 100회 이상의 전국 순회 교육을 실시하고,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동영상 안내서, 조사표 작성지침 및 보고시스템 사용자 안내서(매뉴얼) 등 다양한 자료를 배포해 기업의 통계조사 참여를 도울 예정이다.

한편 이번 통계조사 결과는 화학물질안전원의 검증을 거쳐 2020년 하반기에 화학물질 종합정보시스템(https://icis.me.go.kr)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송용권 환경부 화학안전과장은 “화학물질 통계조사는 국내 화학안전정책의 기초가 되는 만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라며 “기업에서 쉽게 통계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부도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화학물질 통계조사대상 19개 업종 기준>

업종

일반화학물질(kg)

유해화학물질(kg)

1.농업, 임업 및 어업

1,000

100

2.광업

1,000

100

3.제조업

-

-

4.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

5.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

6.건설업

1,000

100

7.도매 및 소매업

1,000

100

8.운수 및 창고업

1,000

100

9.숙박 및 음식점업

1,000

100

10.정보통신업

1,000

100

11.금융 및 보험업

1,000

100

12.부동산업

1,000

100

13.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000

100

14.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1,000

100

15.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000

100

16.교육서비스

1,000

100

17.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000

100

18.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000

100

19.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000

100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