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4대 제조강국 목표로 4대 추진전략 제시
스마트화, 친환경화, 융복합화로 산업구조 혁신

▲ 전기ㆍ수소차 및 LNGㆍ수소추진선 보급이 정부의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의 핵심 과제중 하나로 부상했다.(사진은 국회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차 중전소)
▲ 전기ㆍ수소차 및 LNGㆍ수소추진선 보급이 정부의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의 핵심 과제중 하나로 부상했다.(사진은 국회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차 중전소)

[에너지신문] 전기ㆍ수소차 및 LNGㆍ수소추진선 보급 등이 정부의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2020~2025년 전기ㆍ수소차 R&D에 3856억원을 지원해 2022년 누적 전기차 43만대, 2030년 수소차 85만대 보급를 보급하고 2021~2030년 LNGㆍ수소추진선 R&D에 6000억원의 예타를 추진해 2025년까지 LNG 추진선 140척 시장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양질의 일자리와 혁신성장의 원천인 제조업이 강해야 지역이 발전하고, 국가경제도 성장할 수 있다는 인식 하에 제조업 부흥을 통해 세계 4대 제조강국 도약을 위해 정부가 20일 발표하는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중 일부다.

정부는 제조업 르네상스 추진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율을 현재 25%에서 선진국 수준인 30%로 끌어올려 산업구조를 혁신하고, 제조업 생산액 중 신산업·신품목 비중을 16%에서 30% 수준으로 높이고, 세계 일류 기업을 2배 이상으로 확대해 ‘세계 4대 제조 강국(수출규모기준)’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설정했다.

이를 위해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달성을 위해 4대 추진전략을 중점 추진한다고 밝혔다.

4대 추진전략은 우선 스마트화, 친환경화, 융복합화로 산업구조 혁신을 가속화하는 한편 신산업을 새로운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기존 주력산업은 혁신을 통해 탈바꿈시킨다는 것. 또한 산업생태계를 도전과 축적 중심으로 전면 개편하고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하는 정부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는 친환경차, 선박, 공기산업, 에너지신산업 등 친환경 시장 선점을 위해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수요창출을 병행 지원한다고 밝혔다.

철강, 뿌리 등 사업장에 클린팩토리를 도입해 스마트공장과 유사한 모델로 대대적으로 확산하고,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주요 산단(산업계 미세먼지의 80% 배출)은 청정제조산단으로 탈바꿈시킨다.

지속적인 신산업 창출에 국가적 역량과 자원도 결집한다. 신산업 분야별 중장기 기술로드맵을 제시하고, 민관합동 대형 R&D를 추진한다.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3대 핵심 신산업은 민간의 대규모 투자와 정부의 마중물 역할을 통해 제2의 메모리 반도체로 육성해나간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민간 180조원 투자에 더해 정부 R&D 8조 4000억원 지원을 위해 예타를 추진한다.

혁신적 신기술에 대해 정부는 전기·수소차, 로봇, 바이오 등 10대 분야 국제표준 300종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표준화전략 수립 및 국제 표준화도 추진한다.

고부가 유망 품목 중심으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제조업의 허리인 소재․부품․장비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상시적 사업재편과 기업 구조 혁신을 촉진하고, 산업단지를 대개조해 신산업 창출과 제조업 혁신의 전진기지로 대전환한다.

제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적기에 충분히 양성하고, 도전, 속도, 축적에 기반해 R&D 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한편 혁신 제조기업의 도전․성장을 뒷받침하는 금융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외국에 나가지 않고 국내에 투자해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과감하게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또 정부가 First Buyer로서 선도적으로 수요를 창출하고, 대규모 실증도 확대하며 혁신이 확산될 수 있는 민관협력 체계도 구축한다.

정부는 20일 산업단지 현장에서 ‘세계 4대 제조강국 Made in Korea’라는 슬로건 하에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선포식’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을 발표한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 회의’를 통해 미래차 등 업종별 전략과 기업환경 개선, 인재양성 등의 후속 과제를 지속 논의해 나갈 계획이며, 후속 대책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