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일 차관, 런던서 英기업에너지부 국무‧사무차관 면담
올해 400만 파운드 규모 양국 공동펀딩형 R&D 본격 시동

[에너지신문]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15일 런던에서 영국 기업에너지부의 앤드류 스티븐슨(Andrew Stephenson) 국무차관, 알렉스 치솜(Alex Chisholm) 사무차관 등과 잇달아 면담을 갖고 양국간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양측은 양국의 산업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4차 산업혁명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AI(인공지능)·빅데이터, 시스템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미래형 신산업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키로 의견을 모았다.

▲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15일 영국 런던 기업에너지부 회의실에서 앤드류 스티븐슨(Andrew Stephenson) 국무차관 및 알렉스 치솜(Alex Chisholm) 사무차관과 만나 한-영국 양국간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사진제공 산업부)
▲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15일 영국 런던 기업에너지부 회의실에서 앤드류 스티븐슨(Andrew Stephenson) 국무차관 및 알렉스 치솜(Alex Chisholm) 사무차관과 만나 한-영국 양국간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사진제공 산업부)

이와 관련, 양국은 구체적 기술협력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약 400만 파운드 규모의 한-영 공동펀딩형 R&D(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올해 본격 착수하고, 하반기 서울에서 국장급 실무협의회인 한-영 과학기술혁신파트너쉽 위원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양국 차관은 신(新)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청정에너지 확대를 이끌기 위해 수소경제, 재생에너지 등으로 에너지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정 차관은 “양국은 수소산업 육성 여건이 유사하면서도 상호 보완적 강점이 있다”며 수소경제가 친환경 에너지이자 혁신성장 원동력임을 고려할 때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인프라 확대와 수전해 기술 분야에서 적극적인 협력을 제안했다.

양국은 높은 인구밀도로 충전소 구축이 유리해 수소차 보급 확산 등 수소사회로의 전환이 용이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한국은 수소차·연료전지 분야, 영국은 수전해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정 차관은 또 양국이 깨끗한 에너지원 확대를 위해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고 특히, 영국이 해상풍력 강국이므로 양국 전문기관간 협의체 또는, 기업간 워크숍 개최를 활성화하는 등 실질 협력 강화를 제안했다.

영국은 지난해 기준 육상‧해상풍력 21.7GW(48.9%) 설비를 보유했으며 지난 2017년 10월 세계 최초로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스코틀랜드에서 상업 운전을 개시했다.

양국 차관은 향후 한-영간 산업 및 에너지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기존 국장급 협의체 외에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영국 기업에너지부간 고위급 협의채널 개설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정 차관은 이날 현지 진출한 우리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기업들의 브렉시트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정 차관은 이 자리에서 정부가 양국간 통상관계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한-영 FTA 적기 체결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이 브렉시트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업지원 체계도 강화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양국간 미래형 신산업 협력 방향

분야

협력 방향

AI·
빅데이터

▪(韓)산업+데이터 결합을 통한 제조업 혁신과 지능화 추진 중

▪(英)빅데이터 및 블록체인 활용한 에너지 프로슈머 사업 추진 중

⇒ 빅데이터 기반 분석 기술 및 빅데이터 표준화 방안 등의 교류 협력 증진

반도체

▪(韓)메모리 1위 기술력+자동차/에너지/5G 등 탄탄한 반도체 국내수요 보유

▪(英)시스템반도체 핵심요소인 설계자산(IP) 시장 주도(세계시장 약 45% 점유)

⇒ 양국 강점을 기반으로 시스템반도체 분야 협력 지속

미래차

▪(韓)’19년 세계 최초 5G 상용화 + ‘21년 고속도로 자율주행 상용화 추진

▪(英)‘21년 자율주행차 실도로 운행을 목표로 기술개발 등 지원(약 1,500억원)

⇒ 자율주행 기술개발과제의 공동기획 등 추진

바이오

▪(韓)바이오 세계 26위 + 바이오 벤처기업 창업 증가 및 VC투자 활발

▪(英)바이오 세계 7위 + 산·학·연 공동연구가 활발한 바이오 클러스터 보유

⇒ 공동연구‧기술협력 및 한국사절단 訪英 추진(’19.11)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