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산업 발전방안’ 발표, 제조로봇 7560대ㆍ사회적약자 1만대 보급

[에너지신문] 정부가 오는 2023년까지 제조로봇 보급 대수를 70만대로, 시장 규모를 15조원까지 늘리기로 해 로봇산업 발전에 청신호가 켜졌다.

정부는 22일 대구 현대로보틱스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로봇산업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산업을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중앙정부 차원의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대구시는 ‘로봇산업 선도도시 추진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산업부는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 달성을 위해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정책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우리나라의 제조로봇 활용도는 세계 1위 수준이지만, 뿌리, 섬유, 식·음료와 같이 근로환경이 열악하고 인력부족 해소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로봇 활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정부는 이처럼 제조혁신이 시급한 분야를 중심으로 제조로봇을 집중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로봇과 스마트공장을 접목해 전통 제조업을 되살리는 동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정부는 먼저 제조로봇 보급 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표준 활용모델 개발, 활용인력 교육을 함께 지원한다.

이와 함께 뿌리, 섬유, 식·음료 등을 중심으로 제조로봇 7560대를 선도 보급하고, 이를 계기로 민간이 자율적으로 큰 부담 없이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렌탈, 리스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수익성과 성장성을 고려해 돌봄, 의료, 물류, 웨어러블 등 유망 서비스로봇 분야를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총 3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해 4대 서비스로봇 분야 기술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사람을 위한 로봇산업’이라는 모토하에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로봇을 집중 보급해 포용국가 실현을 앞당길 방침이다.

이에 따라 돌봄로봇을 10개 지자체와 협력해 중증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5000대를 보급하는 등 4대 서비스로봇 총 1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4대 서비스로봇 분야 보급사업>

아울러 서비스로봇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 개선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중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내에 ‘로봇 규제 샌드박스 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한다.

로봇산업을 떠받치는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로봇제조사와 수요기업을 연결하는 로봇 분야 시스템통합 전문기업(SI)을 육성하고, 미국, 일본 등에 의존하고 있는 로봇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의 자립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 로봇산업 생태계 현황>
 

내년부터 7년간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차세대로봇에 필요한 지능형 제어기, 자율 주행 센서, 스마트 그리퍼 등 3대 핵심부품과 영상정보 처리, 인간로봇 교감 등 4대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산업간, 기술간 융합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차, 공장기계, AI 등 인접 분야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로봇 융합 얼라이언스’를 운영한다.

정부는 3대 정책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 오는 2023년까지 연매출 1000억원 이상의 스타 로봇기업 20개를 육성하고 로봇 산업을 15조원 규모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최근 인공지능, 5G통신 같은 새로운 기술이 로봇에 접목되면서 로봇이 더욱 지능화 되고 제조업 현장은 물론 우리의 일상생활 곳곳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제조로봇 시장을 확대하고 뿌리, 섬유, 식·음료 등 수요산업의 구조를 고도화하는 한편,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서비스로봇 산업도 경쟁력을 강화해 로봇산업 4대 강국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