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SA, 분과위에 CO₂저장 최고 전문가 한자리 모여

CO₂저장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한국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협회(운영위원장 한종훈 서울대 교수, www.kccsa.or.kr, KCCSA)는 24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1층 세미나실에서 제1차 저장 분과위원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1차 저장 분과위원회의에는 지식경제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등 관련 기관 및 포스코건설과 GS건설, SK 기술원 등 민간기업 및 학계의 CCS 저장 관련 국내 최고 전문가들 18명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 CO2 저장의 주요 쟁점과 실증 사업 추진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허대기 박사는 ‘국내 CO2 지중저장 현황 및 전망, 그리고 CO2-EOR(유전(油田)에 CO2를 주입, 석유 회수를 증진하는 기술, Enhanced Oil Recovery) 가능성’에 대해 기조발제를 했다.

한국해양연구원 강성길 박사는 ‘해양지중 저장의 시행 계획 및 장애물’에 대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이균 박사와 김태희 박사는 각각 ‘CO2 지중저장소 조사 분석 및 특성화’, ‘미국의 저장부지 선정 기준과 현 단계에서의 국내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CO2 저장에 대한 현주소를 진단하는 기회를 가졌다.

한국CCS협회 한종훈 운영위원장은 “CCS 저장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최초로 한자리에 모인 만큼, 이번 저장분과회의을 통해 향후 국내 CO2 저장의 실증 사업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이 제시될 수 있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협회에 따르면 정부는 온실가스 직접 감축 효과가 큰 ‘이산화탄소(CO2) 포집 및 저장(CCS)’ 분야에 오는 2019년까지 1727억 원을 투입하기로 한 가운데,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은 ‘저장(Storage)’ 분야에서 실증 수준을 높이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철강회사나 발전회사 등은 이미 이산화탄소(CO2) 포집(capture) 원천기술을 확보, 보령화력발전소 등에서 포집설비 시험가동 등 실증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저장 분야 실증 사업화 수준은 그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포집된 CO2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저장 분야는 ‘포집(Capture)’에 비해 경제성이 높지만 실증화 수준은 아직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정부와 KCCSA는 오는 2015년까지 CO2 저장 부지를 선정해 2017년부터 CO2 저장(주입)을 시작한다는 목표(국가CCS종합추진계획, 2010.07) 아래,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CO2 의 포집과 수송, 전환 등을 저장 기술의 실증 사업화와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느라 부심 중이다.

한편 CCS란, 'Carbon Capture & Storage'의 약자로 이산화탄소(CO2) 포집 및 저장을 뜻한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2가 대기로 배출되지 않도록 발전소·공장과 같은 대량 배출원으로부터 CO2를 모은 뒤 지하에 영구 저장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에 일조하는 녹색 기술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