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보고서 “수소대량 생산위한 현실적 방안 별도 마련 필요”

내년 ‘CNG융복합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에 150억원의 정부예산이 신규 편성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CNG융복합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에 150억원의 정부예산이 신규 편성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신문] 내년 도시가스 배관망을 이용한 수소 생산・공급 인프라 구축 사업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150억원의 예산을 신규 편성하고 있는 가운데 이 사업의 명칭을 ‘수소생산기지 구축’에서 ‘CNG융복합 수소충전소 구축’으로 변경하고 수소대량 생산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위원회에 상정한 ‘2019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세입세출예산안․기금운용계획안 검토보고서’에서 나온 내용이다.

검토보고서에서는 ‘수소생산기지 구축’에 산업주가 150억원의 예산을 신규 편성했으며, 이 사업은 서울권, 경기권, 중부권(충청) 3권역에 CNG충전소가 설치돼 있는 버스차고지에 수소개질기를 설치해 CNG(Compresed Natural Gas)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제조설비와 수소의 압축·저장·충전설비를 설치하는 사업이다고 밝혔다.

정부는 당초 한국가스공사가 운영하는 도시가스 공급관리소에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수소생산기지를 건설한 후 한국가스공사로 하여금 이를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었다.

수소생산기지에서는 CNG(Compresed Natural Gas, 천연가스)를 개질해 대량의 수소를 생산하고, 생산된 수소는 생산기지에서 직접 충전(ON SITE)하거나, 배관 또는 튜브트레일러로 운송해 다른 장소(충전소)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현행 도시가스사업법상 공급관리소에는 가스공급시설 외 타 시설물은 설치할 수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소생산기지를 CNG충전소가 설치돼 있는 버스차고지로, 사업수행주체도 도시가스사, 충전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공모키로 계획을 변경했다.

현재 정부가 기획하고 있는 수소생산기지는 시간당 300N㎥의 수소 제조설비와 충전설비를 설치하는 것이다. 수소 300N㎥는 무게로 환산하면 26.8kg이고 수소버스 1대 충전량이 25.2kg임을 감안할 때 1일 최대 수소버스 24대 분량의 수소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

정부는 현재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수소버스를 2020년 이후 양산체계를 구축하고 2022년까지 1천대(잠정)를 보급키로 수소버스 보급 확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구가 밀집된 서울과 경기 권역은 수소버스가 최소 24대 이상 보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 중인 수소생산기지에서 제조하는 수소의 양이 1일 최대 수소버스 24대 충전분에 불과하기 때문에 생산기지에서 제조된 수소는 대부분 해당 차고지의 수소버스의 충전에 자체 소비될 것이므로 다른 충전소로 이송될 수소의 양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 중인 수소생산기지는 CNG버스의 가스충전을 위한 버스차고지 CNG충전소와 비슷한 개념으로서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해 유통시키는 생산기지라기 보다는 수소버스 충전을 위한 CNG개질 형태의 융복합 수소충전소의 성격에 가깝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지난 6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방향’을 논의하면서 2022년까지 수소차 1만 5000대, 수소충전소 310기를 보급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2022년 수소차는 16.6배, 수소충전소는 7.9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비례해 수소의 수요량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의 생산설비로는 늘어난 수요량에 대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보고서에서는 사업명은 사업내용에 부합토록 ‘수소생산기지 구축’에서 ‘CNG융복합 수소충전소 구축’으로 변경해 사업을 추진하되, 수소대량 생산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