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에너지분야에서 선제적으로 철저히 대비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개성공단사업이 재개할 경우 한전, 가스공사, 지역난방공사 등 개성공단에 전력과 가스, 난방을 공급해 왔던 공기업들이 빠르게 움직여야한다. 개성공단이 원활하게 돌아가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입주에 맞춰 에너지가 적기에 공급돼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한전은 2004년부터 개성공단 폐쇄전까지 124개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2015년 기준 연간 총 191백만KWh의 전력을 공급했었다. 한국가스공사와 지역난방공사도. 개성공단 폐쇄전까지 LNG와 난방연료를 공급해 왔기에 개성공단 재개시 어떤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지 계획해야 한다.

당시 개성공단의 주요 에너지원이었던 LPG는 E1과 SN에너지가 소형탱크와 배관을 통해 공급했지만 개성공단 폐쇄로 큰 손실을 입었던 터라 재진출 가능성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지난해 7월 문 대통령이 남북러 가스관 연결 등 경협 방향을 제시한 바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도 필요하다.

2700조원 이상 규모로 알려진 북한 광물자원에 대한 연구와 관리, 원전진출 가능성 등 남북간 자원 및 에너지 협력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래저래 남북 경협이 속도를 낼 경우 에너지는 필수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춰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