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곳 중 1곳이 스마트공장 … 질 좋은 일자리 7.5만개 창출
4차산업혁명위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심의

▲ 정부의 스마트공장 확산 정책이 빨라지고 있다. 사진은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스마트공장인 신성이엔지 용인공장을 방문하고 있는 모습.

[에너지신문] 2022년까지 전국 2만 곳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질 좋은 일자리 7만 5천개를 창출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이 나왔다.

스마트공장은 생산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에너지효율과 자동화 비율을 높인 지능형 공장으로 2만개는 공장 3곳중 1곳이 스마트공장으로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8일 광화문 KT 12층 회의실에서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5차 회의를 열고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전망’등 안건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2년까지 2만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이라는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한 전략을 밝혔다.

정부 전략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확산을 정부 주도에서 민간ㆍ지역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부 지원, 대기업 지원으로 이원화된 방식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도입한다.

스마트공장의 민간과 정부 주도 구축 비율을 올해는 30% 대 70%지만, 2022년까지 이를 50% 대 50%로 조정키로 했다. 또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는‘상생형 모델’의 경우 재원 부담비율은 정부가 30%, 대기업이 30%, 중소기업이 40%다.

또한 지자체-지방중기청-TP 등이 유관기관 협의체를 구성, 현장수요를 발굴하는 한편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기업에 R&D, 자금 등 정책수단을 연계 지원한다. 지역별로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거점으로 지정ㆍ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기술 및 AI·VR 등 고도화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도 강화한다.

업종별ㆍ지역별 시범공장을 2018년 6개에서 2022년 50개로 늘리고, 대표공장을 확대해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토록 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공동 활용을 촉진한다. 기존 구축기업의 수준 업그레이드를 위해 올해 142억원을 투입, 전용사업을 신설한다.

또 공급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을 위해 대·중견·중소기업 간 'Smart Factory Alliance'를 구축한다. 솔루션, 센서, 컨트롤러, 로봇 등 관련기업 30~40개사를 선정하고, 선단형 해외진출, 공동 R&D, 표준화 등 공동 대응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스마트공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스마트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2022년까지 5만명에게 실시한다.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개발 및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을 올해중 4개 대학으로 확대한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그간 현장에서 기업들이 실제 느끼고 있는 문제점ㆍ애로사항에 집중해 궁극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등을 통해 청년이 찾아오는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된다는 목표 하에 정책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향후 세부적인 과제들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 관계부처, 지원기관, 기업, 지자체 등의 유기적 협업을 촉진하는 ‘스마트공장 추진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도 TF 및 위원회를 통해 주기적으로 이행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추진체계(안)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