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지난 MB정부에서 이뤄졌던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문제로 자원업계는 5년여가 지난 현

재까지도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자원3사가 추진한 해외자원개발 사업들은 천문학적인 부채를 남긴 부실덩어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해외자원개발로 인한 확정 손실액만 13조원에 달하고, 투자금액의 예상회수액도 95%에 불과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자본잠식으로 식물상태가 돼버린 광물자원공사는 회생불가능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해체하는 게 낫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는 해외자원개발 사업들이 이 같은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된 이유 중 하나로 MB정부의 밀실회의를 꼽고 있다. 당시 해외자원개발 사업들은 청와대를 중심으로 밀실에서 추진됐고, 내실은 뒷전으로 미룬 채 ‘자주개발률 목표치 달성’에만 몰입했다는 것이다.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회의는 점점 공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필연적으로 언젠가는 문제를 낳기 마련이다.
이 와중에 해외자원개발협회는 지난 22일 ‘2018년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지난 자원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과 역량 부족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토대로 자원개발 사업 추진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설명에 어울리게 협회는 해외자원개발 인식 개선과 회원사의 사업추진 지원 등을 목표로 2018년 한 해 동안 노력하기로 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정기총회가 비공개로 진행됐다는 점이다.
협회는 이날 총회를 시작하면서 더 이상은 취재할 수 없다며 현장의 기자들에게 협조를 부탁했다. 이 같은 모습에서 MB정부 당시가 떠오르는 것도 어쩔 수 없을 것이다.
협회의 목표대로 국민의 신뢰를 되찾고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다시 만들기 위해 이제는 관례가 돼버린 비공개 총회를 공개로 되돌리는 결단과 그를 통한 국민의 불안감 불식이 선결과제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