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회의서 논의
신재생 간헐성 보완 위한 백업설비 확보 전제

[에너지신문] 정부가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될 2031년 적정 설비예비율을 22%로 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코엑스에서 노재형 건국대 교수, 김욱 부산대 교수 등 5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예비율 워킹그룹 회의을 가졌다.

이날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산정된 적정 설비예비율 22%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간헐성 대비까지 고려, 최소예비율 13%와 불확실성 대응 예비율 9%를 합한 수치다. 앞서 지난달 11일 공개한 설비계획 초안에서는 설비예비율을 20~22%로 발표한 바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이번 설비예비율 산정의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여부 등 전원믹스 변화를 감안하더라도 전력수급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예비율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빠른 시간 내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양수발전소, 가스터빈(GT) 단독 운전이 가능한 LNG복합화력 등의 백업설비 확보가 필요함을 전제로 했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이다.

한편 적정 설비예비율은 최대전력 수요가 발생하는 시점에 전력수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예비전력의 비율로 실제 최대 전력수요가 예측한 것보다 수요가 증가하거나 발전소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력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고려한 수치다.

최소 설비예비율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최소한으로 확보해야 하는 예비율로 발전기의 고장정지나 정비 및 신재생 백업설비 등을 고려해 산정한다. 불확실성 대응 예비율은 미래수요 변동, 발전소 건설 지연 등에 대비하기 위한 예비율로 최소 예비율만으로는 부족한 미래 수급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추가 예비율이다.

원자력, 석탄, LNG 등 발전원에 따라 고장정지확률 및 정비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최소예비율 수준은 전원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원전의 경우 LNG복합 도는 석탄화력보다 단위기 용량이 크고 정비기간이 길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예비율이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