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자립 기반조성 중추 역할...신재생에너지 보급에도 앞장 서

[에너지신문] 서울시는 지난 2012년 4월부터 원전 1기에 해당하는 200만톤의 에너지를 줄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원전 하나 줄이기’ 정책을 펼쳐왔다. 이에 평균 전력 자립률을 2011년 2.9%에서 2015년 5.5.%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기록했다.

또한 서울시가 추진한 ‘베란다 태양광’을 포함한 시민햇빛펀드, 에너지협동조합, 에너지슈퍼마켓, 에너지자립마을 등이 시행된 이후 2010년 대비 2015년 전국 전력사용량은 11.4% 증가한 반면 서울은 4%나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에너지사업을 보다 확장시키기 위해 ‘서울에너지공사’를 출범시켰다.

이에 신재생에너지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전담기관으로서 출범 3개월에 접어든 서울에너지공사의 출범 과정과 핵심 사업·현재 추진 중인 사업을 살펴보고자 한다.

▲ 박진섭 서울에너지공사 초대 사장.

서울에너지공사는 목동·노원 열병합발전소 관리를 담당하던 ‘SH공사 집단에너지사업단’에서 분리돼 출범했다.

출범 전인 지난 2014년 3월 맥킨지 컨소시엄의 서울시 ‘시정 주요분야 컨설팅’ 결과 사업 운영체계 개선방안으로 공사화 또는 민간매각의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이후 서울시정회는 에너지정책사업의 통합 연계 추진을 위한 실행조직 필요와 집단에너지사업 위탁 운영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서는 별도로 에너지공사를 설립해야 한다는 해법에 공감하면서 설립이 추진됐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서울시의 ‘원전 하나 줄이기’ 에너지정책을 전담해 2020년까지 원전 2기에 해당하는 400만 톤을 줄이고 온실가스 1000만 톤으로 절감해 나가는 것을 핵심 목표 삼았다.

또 특정 원전, 화력발전소 주변 주민들의 희생을 지역상생으로 전환시키고자 하고 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사업을 공동 추진하며 원전하나줄이기 매뉴얼도 제작, 보급해 시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전파하고 탈핵사회를 선도적으로 이끌 계획이다.

향후 ‘시민과 함께하는 열린 에너지 세상’이란 비전 아래 친환경·분산형 에너지 공급, 저소비형 에너지 보급, 나눔형 에너지 확대, 지역간 상생협력사업 등 4대 핵심 사업을 추진한다.

집단에너지 공급 확대

공사는 정부의 미활용에너지 발굴·확대 시책에 부응하면서 경영수지 개선도 동시에 이루어내기 위해, 저가의 미활용에너지를 연계열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이미 서남물재생센터와는 올해 10월 열연계를 개시하기로 했고 별내, 서남, 천왕, 도봉 등 연료전지발전소의 발전배열을 연계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어 미활용에너지 이용률은 매우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2020년까지 지역냉난방·태양광발전을 확대하기 위해 하수열 등 친환경 열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늘려 에너지를 소비하는 도시에서 생산하는 도시로 ‘에너지 선순환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2015년 25만 2845세대에 공급하고 있는 지역난방을 2020년에는 28만 세대, 2030년에는 48만 세대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미활용에너지 연계열과 마곡 열병합발전소 건설로 확보한 열공급능력을 바탕으로, 현재 강서·양천·구로·노원·도봉·중랑 등 6개 구 20개 동에 머물고 있는 공급대상을 서남권역에서는 영등포·금천구로 확대하고 동북권역에서는 강북·성북·동대문구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서울 목동에 위치한 집단에너지 시설.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

집단에너지 공급사업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신재생에너지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RPS(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사업을 자발적으로 전개한다.

RPS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2012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제도로, 설비용량이 500MW 이상인 발전사업자는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공사는 RPS 대상기업은 아니지만 자발적으로 이 사업에 참여해 수익을 확보하고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친환경 열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2020년까지 태양광과 연료전지를 각각 70MW·90MW씩 추가 설치한다. 전기요금 누진세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가정용 미니태양광 보급 확대를 위해 2020년까지 4개 권역별 ‘토탈 서비스센터'도 구축한다.

또한 내년까지 전기차를 1만대로 확대하는 등 저소비형 에너지 보급과 태양광으로 충전 후 남은 전기를 저장하는 신재생에너지 융합 충전소 ‘솔라 스테이션(Solar Station)’도 올해 시범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전기차 구매부터 유지보수, 충전, 재판매, 폐차까지 원스톱으로 관리하는 ‘전기차 생애주기 종합관리 서비스’를 연내 제공하고, 서울시민이 전기차 구입시 저리로 융자해주는 금융상품 ‘이비론(EV Loan)’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도시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사업도 펼치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집단에너지와 연계한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통해 수익구조를 개선한 다음, 타 집단에너지 사업자들과 열연계가 가능한 지역으로 확대하고, 향후에는 시민이 직접 출자하는 수익분배형(시민펀드)사업도 추진한다는 단계별전략도 마련해 두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62MW의 연료전지 발전용량을 확보한다는 것이 1차 목표다.

▲ 배출권거래제 개요.

에너지 효율화

에너지 다소비 건물을 대상으로 BAS(Building Automatic System) 클라우드를 구축해 실시간으로 에너지사용 현황을 분석 및 컨설팅하는 사업방식이다. BAS 클라우드를 구축하면 건물효율의 원격관리가 가능하며 에너지비용을 감축할 수 있게 된다. 공사는 올해 1단계로 집단에너지 공급지역 건물을 대상으로 이 사업을 시작하고, 2단계로는 지역난방 공급지역을 대상으로, 3단계로는 서울시 전체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해 국내 최대의 건물 에너지관리 전문기관으로 성장한다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또한 탄소배출권 거래제 조기정착을 위해 서울시(환경기초시설 등 25개 시설 보유) 등 관내 대상업체가 에너지 진단 및 감축방안 컨설팅, 배출권 상쇄 확대를 위한 플랫폼 조성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해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전문인력을 확보해 배출권거래제 종합대응체계를 구축하고, 공사 사업에 대한 상쇄사업을 활용해 배출권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 사업이 활성화되면 2020년까지 1만 7400tCO₂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게 될 전망이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시내 주요 교통기반시설의 조명을 LED로 교체해 전력소비량을 절감함으로써 에너지자립도를 높일 계획이다. 공사는 이를 ESCO사업으로 추진하면서 전력소비량 모니터링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그렇게 되면 2020년까지 터널 및 지하차도의 LED 2만 6000개를 교체하여 수익도 창출하고 3300tCO₂의 온실가스도 감축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간 상생협력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강원 삼척, 경남 밀양 등 원전이 설치된 지역과 협력해 태양광 발전소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펼친다. 현재 경기와 충남, 제주, 삼척 등과 양해각서를 체결해 협력 사업을 추진 중이다.

에너지 빈곤층 발굴과 사계절 맞춤형 에너지 복지 지원에도 역할을 한다. 공사 수익의 일부를 에너지복지기금으로 조성해 보조금이나 냉·난방용품 지원을 넘어 거주시설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다양한 사업의 발굴을 계획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