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지난달 29일 파이낸셜 타임즈는 한국을 최악의 대기오염 국가 반열에 올려놓았다.

당시 서울에 몇 주 동안 독성 스모그가 깔리면서 서울이 대기오염으로 악명이 높은 베이징이나 델리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기오염 피해로 인한 연간 손실액은 90억 달러로 추정했다.

이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듯 우리 정부는 올해 들어서만 총 85회의 미세먼지 주의보를 발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체 발령건수 41회를 이미 초과했다.

또 OECD 보고서는 2060년까지 우리나라의 대기오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자 수가 약 9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그야 말로 전 국민이 호흡이 질환으로 인한 조기사망을 걱정해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런데 정부는 아직까지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특단의 조치를 찾지 못하고 있다. 다만 중국 등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가장 큰 문제의 원인인 것으로 파악하는 듯하다. 그나마 더 이상 고등어 구이나 삼겹살 핑계를 대지 않는 것은 씁쓸하지만 다행한 일이다.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한중 환경협력센터'를 설립하는 것도 좋고, 한중일 환경분야 국장급 회의도 좋다.

하지만 무엇보다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지난 2005년에서 2011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가 95%나 증가하고, 여전히 전체 발전비중의 4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가 에너지정책 방향을 미세먼지 저감에 초점을 맞춰 추진하는 일을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