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계·금융계·학계 간담회 열고 에너지신산업 해외진출 방안 논의

[에너지신문] 정부는 물론  업계·금융계·학계가 모두 모여 에너지신산업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찾기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에너지신산업 업계·금융계·학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에너지신산업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우 차관을 비롯해 서울과기대 유승훈 교수, 한화큐셀코리아, LS산전, LG전자, 포스코, 에스에너지, 수출입은행, 에너지인프라자산운용, 에공단, 에경연, 한전 등 15명의 관계자가 함께 했다.

이날 우 차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에너지신산업 분야 기업들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고 국내 보급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지난해에는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총 11조원 이상이 투자됐고, 올해는 이보다 25% 증가한 총 13.8조원의 투자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전기차는 지난 한 해에만 6000대 가량 판매돼 누적 보급량 1만대를 돌파했으며, ESS도 225MWh로 전년대비 50% 가까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올해는 그동안의 에너지신산업 성과가 수출로 확대돼야 할 시기라는 평가다.

우 차관은 "국내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외진출 경험이 풍부한 공기업, 기술력이 있는 민간기업, 자금력이 있는 금융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에 동반 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 차관에 따르면 한전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신규사업 발굴에 집중하고, 화력, 원자력 등 기저발전의 해외 수출시에도 신재생, ESS 등 연관 신산업이 함께 진출할 수 있도록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한다.

또 민간기업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넓혀나가야 마땅하다.

아울러 금융기관은 프로젝트 실사, 금융자문, 금융주선 등을 통해 에너지신산업에 적합한 투자와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이후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한전은 '글로벌 에너지트렌드가 화력·원전 중심에서 신재생, ESS 등 신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전 관계자는 "현재 추진 중인 소규모 마이크로그리드(페루, 에콰도르 등), AMI(이란 등) 등의 해외사업에 대한 후속사업 발굴과 함께 신규 사업수주 시 국산 기자재 조달을 통한 해외 동반진출에 역점을 두는 한편, 유망 중소기업에 대해서도 기술개발, 마케팅(수출촉진회, 해외전시회 개최 등) 및 판로개척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는 오는 7월 준공예정인 일본 홋카이도 ‘태양광+ESS 프로젝트’는 한전의 사업개발, 민간기업의 EPCㆍO&M, 금융권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13개 파트너사 협력의 성과를 소개했다.

유 교수는 "개별진출이 아닌 각자의 장점을 살린 팀으로 진출할 때 시너지가 극대화되며, 아울러 해외진출 기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수출보험 등의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개도국은 인구증가와 중산층 확대로 잠재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기회요인으로 삼아 개도국 발전전략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IoT,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가 융합‧연계되는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흐름에서 에너지신산업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데 공감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제조업‧ICT 분야의 강점과 한전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공기업 역량을 바탕으로 에너지신산업 분야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이를 해외진출의 새로운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위해 과감한 규제완화와 R&D, 실증사업 등의 집중지원, 해외진출 및 금융투자 등의 협력을 위한 융합플랫폼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는 분석이다.

이에 우 차관은 "그동안 에너지신산업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한 결과 에너지신산업은 태양광, ESS, 전기차 등 3대 품목 중심으로 수출산업화가 진전되고 있으며, 금년에는 이들 품목의 더 많은 수출을 위해 업계의 수출 애로를 적극적으로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올해 태양광, ESS, 전기차 등 3대 수출품목 외에도 풍력, AMI 등으로 품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글로벌 에너지패러다임이 기존 화력·원전 중심에서 신재생 등 신산업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출대상국가도 아시아·중남미 등 개도국 중심에서 유럽·미국 등 선진시장으로 확대하고, 단품위주의 수출에서 나아가 신재생, ESS 등 품목과 O&M을 패키지화 한 토탈솔루션 수출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기업, 민간기업, 금융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동반진출하고 특히, 국내 유망 중소기업에게도 해외 트렉레코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지난 16일 ‘에너지신산업 융합얼라이언스 간담회’의 후속조치로, 에너지신산업 패키지형 해외진출 추진을 위한 '팀 코리아(Team Korea)' 실무작업반을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