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영만 한국에너지공단 글로벌사업실장

 

미래 먹거리 에너지신산업 세계로 나가야

발 빠른 시장선점, 주도권 확보해야
정부차원 ‘G2G’ 지원체계 구축 필요

[에너지신문] 우리나라 인구는 약 5000만명으로 세계 28위이며 국토면적은 109번째이다. 하지만 경제 순위는 세계 11위이다. 이 좁은 땅에서 그것도 남북이 대치하면서 50년 만에 최빈국에서 세계의 경제대국으로 우뚝 선 비결은 무엇일까?

지난 1970~80년대 수출 드라이브 정책의 성공과 이를 뒷받침하는 세계 최고의 교육열과 최저의 문맹률이 큰 일조를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작은 내수시장만으로는 견디기 힘들므로 일찍이 세계로 눈을 돌려 우리의 성실과 근면으로 열심히 노력한 결과일 것이다.

2015년 9월 UN은 최빈국의 빈곤해결을 목적으로 15년간 추진하던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모든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변경하면서 에너지보급과 기후변화대응 등 17개의 목표를 설정했다. 아울러 파리 기후변화협정이 지난해 11월 발효되면서 그동안 선진국 위주였던 온실가스감축 의무가 모든 국가로 확대됐다.

2015년 기준 세계은행(WB)의 총 투자금액은 642억달러 규모였는데, 이 중 16%인 101억달러가 에너지 부문에 투자됐다. 투자 비율은 에너지효율이 76%, 신재생에너지가 24%였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015년 투자금액 273억달러의 36%인 100억달러를 에너지부문에 지원했으며 89%가 에너지효율, 11%가 신재생에너지였다.

ADB의 에너지정책은 ‘Strategy 2020'에 따라 에너지안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 에너지에 대한 보편적 접근 제공, 빈곤퇴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향상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대한 투자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

이 두 은행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투자자들은 UN의 SDGs 추진의지와 파리 기후변화협약 발효에 발을 맞추고 있어 향후 에너지와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투자는 더욱 증가될 전망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은 2008년부터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업화 기반을 마련하는 등의 협력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도국과의 우호기반을 확보하고 온실가스감축사업 발굴과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을 도모하고자 ‘기후변화대응 한-개도국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개도국 정부와의 협력기반 마련과 유망프로젝트를 발굴하는 정책컨설팅, 온실가스 저감 프로젝트의 사업성 조사를 위한 프로젝트 지원사업, 국제기구와 협력,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발굴하고 사업화로 연계하는 국제기구 협력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그간 태국의 태양광발전소, 인도네시아의 연료전지발전소 건립 및 텐터기 수출 등의 유형적인 성과와 함께 지난해 11월에는 세계은행그룹의 국제금융공사(IFC: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로부터 공단을 기후변화대응 분야 최고 전문기관(Center of Excellence)으로 인정하는 감사증서(Certificate of Appreciation)를 전달받기도 했다.

이는 공단이 세계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개도국의 기후변화대응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한 점을 인정하는 측면과 함께 향후 지속적인 협력을 기대하는 측면으로 볼 수 있다.

공단은 2014년 5월에도 ADB로부터 에너지효율분야 최고전문기관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대표적인 MDB(다자개발은행)인 세계은행과 ADB로부터 최고전문기관으로 인정받음에 따라 공단의 위상이 크게 제고됐으며, 개도국의 협력 요청도 더욱 쇄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에너지산업의 미래 먹거리로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친환경에너지타운 등 ‘에너지신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에너지신산업에 4조 7000억원이 투자되는 등 국내시장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이제는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로 눈을 돌릴 때가 왔다.

일부 기업의 경우 발 빠르게 해외시장에 뛰어들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지만, 많은 중소·중견기업들이 기술력은 있지만 해외진출을 위한 판로개척과 자금 확보 등에서 애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부차원의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1월 30일 제3차 에너지신산업 융합 얼라이언스 간담회에서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을 토탈케어 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에너지신산업 해외진출 종합지원 플랫폼인 ‘에너지신산업 해외진출 지원센터’를 에너지공단에 신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공단은 올해 1월 1일부터 동 센터를 설립,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는 업무들을 일원화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조직개편 계획을 지난해 12월 20일 발표했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부분적으로 산재돼 있는 해외진출 관련 정보를 민관이 공유할 수 있는 종합플랫폼을 마련하고,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그동안 민간이 독자적으로 추진하던 B2B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더불어 대상국 정부와의 G2G 협력을 통한 정부차원의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도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에서는 다양한 경험이 있으나 해외에서의 경험이 부족한 우리 기업의 트랙 레코드(Track Record)와 기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해외 실증사업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토양이 형성될 때 비로소 우리기업이 자생력을 가지고 세계무대에 활발하게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얘기했듯이 우리가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한 것은 우리의 장점을 무기로 끊임없이 세계시장을 노크한 결과다. 에너지신산업은 이제 막 꽃을 피우고 있는 새로운 시장인 만큼 발 빠르게 시장을 선점하고 주도적으로 키워가야 우리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민관의 독자적 활동보다는 제대로 된 협력체계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부터라도 공공기관이 힘을 합쳐 기업을 지원하고, 기업과 한 몸이 돼 세계로 나아가야 할 때다. ‘희망이라는 보물’을 가슴에 품고서 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