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재편 및 경쟁력 강화 후 LNG벙커링 산업 등 신시장 개척
5년간 민관공동 R&D 7500억원 투자, 전문인력 6600명 확보

[에너지신문] 31일 정부가 발표한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는 조선산업의 구조개편 방안과 동시에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요창출 방안, 신산업 창출 전략 등이 구체적으로 담겨있다.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민영화를 통을 산업을 재편 후 다양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추진, 신시장 및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조선산업은 지난 9월까지 세계 발주량이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으며, 특히 한국 수주량은 87%나 감소해 수주절벽이 심화되고 있다.

물동량 감소, 저유가 등으로 세계시장은 내년까지 극심한 침체가 예상되며, 2016~2020년 발주량도 과거 5년의 60%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국내 조선산업을 선종별로 분석한 결과, 경쟁우위 분야에는 대형 컨테이너선 및 대형 탱커, LNG선, LPG선 등 대형‧고급상선이 포함됐다. 또한 세계 최고수준의 설계 및 건조역량, 높은 기자재 국산화율(85%) 등 모든 부문에서 경쟁국에 비해 우위를 나타냈다.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 분야에는 시추선, 부유식 원유생산 설비(FPSO) 등 해양플랜트가 포함돼 있다.

건조능력은 우수하지만 △설계능력 취약 △인도 취소·지연 △과당경쟁에 따른 저가수주 등으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현재의 수주절벽에 대응해 오는 2020년까지 11조원 규모, 250척 이상의 선박 발주를 추진하기로 했다.

2018년까지 7조 5000억원을 투입해 군함, 경비정, 관공선 등 공공선박 63척 이상을 조기 발주하는 한편, 2020년까지 선주를 대상으로 3조 7000억원의 자금 지원을 통해 115척의 신조(新造) 발주를 유도할 계획이다.

■고강도 자구계획 이행‧산업재편‧유망 신산업 발굴 계획

조선 건조능력 축소 및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고강도 자구계획 이행 등 구조개편 작업도 속대를 낼 계획이다.

우선, 수요전망 등을 고려해 각 사별로 부유식 도크 등 유휴설비 매각 및 가동중단, 인력조정 및 외주화를 추진함으로써 2018년까지 조선 3사의 도크 수를 23% 축소(31개→24개)하고, 직영인력 규모를 32% 축소(6.2만명→4.2만명)할 계획이다.

특히, 부실규모가 크고, 발주전망이 불확실한 해양플랜트 사업 규모를 축소하고, 수익성 평가를 대폭 강화하여 과잉‧저가 수주를 방지하기로 했다.

또한, 유동성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조선사별로 비핵심사업과 비생산자산의 매각 또는 분사, 자회사 매각, 유상증자 등을 추진한다.

현대중공업은 유휴 도크 가동 중단, 비조선해양 사업부문(태양광, 풍력 등) 분사 및 Pre-IPO 등을 추진하고, 삼성중공업은 호텔, 선주숙소 등 비생산자산을 매각하는 한편, 1조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할 계획이다.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 사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14개 자회사와 조선소 사업장 외 모든 부동산을 매각하게 된다.

또 기업은 각 사별 자구계획과 컨틴전시 플랜을 조기에 완료하고, 정부와 채권단은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이행 실효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사업의 포트폴리오 조정 및 민영화 등을 통한 산업재편도 나선다.

자구계획 이행과 함께, 조선사별로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경쟁력 있는 분야에 핵심역량을 집중하고, 유망 신산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향후 조선사별 체질개선, 경영정상화 정도 및 시장여건 등을 종합 고려해 산은의 대우조선 민영화, M&A 등 산업재편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채권단 관리 아래 있는 대우조선은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주인찾기를 통해 전문성 있고 능력 있는 대주주 등의 책임경영을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기업의 사업재편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기활법을 통한 절차 간소화 등 제도적 뒷받침을 지속할 계획이다,

■친환경·스마트선박 등 집중투자, 경쟁력 강화방안 내놔

경쟁력 우위 부문은 친환경·스마트선박 등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지속적인 경쟁력 우위를 유지토록 하고, 열위 부문은 설계·수주역량 확충 및 틈새시장 개척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5년간 민관공동 R&D에 7500억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6600명 양성과 함께 금융·세제 지원 확대에 나선다.

특히 경쟁력 우위 부문으로 꼽히는 대형 컨테이너선·탱커, LNG선, LPG선 등 대형·고급상선은 단위당 운송비 절감을 위해 선주의 대형선박 발주수요에 조선 3사가 적극 대응해 나가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형선종의 점유율을 현 65% 내외에서 2020년 75%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또 IMO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해 경량화가 가능한 무평형수 선박 개발을 2019년까지 완료(65억원 지원)하며, LNG 연료추진선 핵심기술(연료공급장치·연료탱크 등) 확보, 취득세 감면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2020년까지 2400억원을 투자해 자율운항시스템 등 스마트 선박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ICT를 활용한 스마트 조선소를 중소 조선사(75개)의 40%인 30개 이상에 보급할 계획이다.

경쟁력 열위 및 적자 부문으로 분류되는 해양플랜트에 대해서는 우선, 경쟁력 강화에 초점으 맞추고 있다.
첫째, 취약한 설계능력 확충을 위해 2017년 상반기 중 조선사 및 육상플랜트 분야 엔지니어링사가 공동출자해 플랜트 설계 전문회사(Joint Venture)를 설립키로 했다.

둘째, 극저온 컨트롤밸브, 시추용 고압 펌프, 심해생산용 원유 케이블 등 해양플랜트 기자재의 국산화율을 현재의 25%에서 2020년까지 40%로 제고하기 위해 R&D‧인증‧표준화 등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셋째, 수주역량을 강화와 리스크 관리체계 개선작업도 이뤄진다. 이를 위해 오는 2020년까지 핵심 프로젝트매니저(PM) 100명을 양성하고, RG 발급 심사대상 확대 및 사업성 평가를 강화해 저가수주를 방지하기로 했다.

경쟁력 열위 부문인 벌커 및 중소형 탱커 등의 비중은 축소하고, 특수선 등 차별화된 틈새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2019년까지 경비정, 순찰선 등 특수선 핵심기술(액화수소운반선용 액화수소 저장 기술), 원거리 레이더 등의 자체 개발을 완료하고, 자력으로 특수선 건조가 어려운 동남아, 중남미 등 시장 개척을 통한 수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여객선(2종)‧카페리(1종)‧어선(7종) 등 10종의 표준선형을 개발해 중소형 선박의 건조비용을 절감하고, 레저선박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구축을 통해 현재 40%인 레저선박 기자재국산화율이 2020년 60%까지 제고되도록 할 계획이다.

■1000억달러 선박 서비스 시장 진출 나서

연간1000억달러 규모 선박의 서비스 시장 진출을 통해 조선산업을 선박서비스를 포함하는 고부가 선박산업으로 육성하는 신산업 창출방안도 내놨다.

선박 수리‧개조 시장(연 160억달러) 개척을 위해 사업재편 지원자금 등 총 2조 7000억원을 활용해 3만톤 이상 대형선박 수리가 가능한 조선소를 현재 1개에서 2020년까지 3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현재 해외에서 수리중인 한국가스공사의 선박 중 올해 수리 물량의 20%를 국내로 전환하는 한편, 타 공기업의 선박수리도 단계적으로 국내 전환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에 마면된 대책이 추진될 경우, 대형선박 수리 자급률이 2015년 1.3%에서 2020년 10%로 확대될 것이란 기대다.

연 800억달러에 달하는 해양플랜트 유지‧보수 시장에도 신규 진출한다.

가상 유지‧보수 시뮬레이션, 원격관리시스템, 해체ㆍ철거 기술 등 3대 유지·보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2019년 생산이 종료되는 석유공사 동해 가스전 해체사업을 통해 Track-Record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국내 기자재 기업의 해외 발주처 벤더등록을 지원함으로써 국내 업체의 해외 유지·보수사업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해외 조선소 건설‧운영 컨설팅 사업도 진출한다.

국내 조선소 건설‧운영 노하우를 활용, 합작법인 설립 등 다양한 협력모델을 개발해 산유국, 인도 등 해외 조선소 건설‧운영 자문 시장을 개척하고, 정상외교 등 정부간 고위급 채널을 활용해 해외 조선사에 대한 기술자문․교육과 연계한 수주도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규제에 따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LNG 벙커링 시장 개척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부는 항만운송사업법 개정을 통해 선박을 이용한 LNG 벙커링 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벙커링이 가능한 LNG 인수기지를 2020년까지 3개 이상 확보키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기존 LNG 인수기지(통영)를 95억원을 투자해 2018년까지 벙커링이 가능하도록 개조하고, 2019년까지 100억원을 투자해 LNG벙커링이 가능한 신규 LNG인수기지 건설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당장 내년부터는 한국LNG벙커링산업협회를 중심으로 민관공동 SPC를 별도로 설립해LNG 벙커링 선박을 신규 발주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이번 경쟁력 강화방안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면서 조선산업 상황변화에 따른 보완대책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