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호 의원 "수소폭발 막는 핵심 안전설비 부실공사"
한수원 "격납건물 구조건전성 영향 無...확인 후 조치"

[에너지신문] 원전의 수소폭발을 막기 위한 핵심 안전설비가 격납건물 내 천공이 방치된 채 마구잡이로 설치, 국가 최고등급 안전시설의 ‘최후 방호벽’에 구멍이 뚫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한수원은 즉각 해명자료를 내고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은 19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수력원자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국내 모든 원전에 피동형 수소재결합기(PAR: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졸속·부실 공사를 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앵커볼트를 이용해 수소 제거장치인 PAR을 원자로 격납용기 콘크리트나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곳곳에 홀(구멍)을 내고도 되메움을 하지 않은 채 덮어버렸다”고 주장했다.

▲ 박재호 의원이 제시한 월성 3호기 되메움 미시공 부위(1곳) 증거자료.

박 의원에 따르면 한수원은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230억원을 들여 국내 모든 가동원전 24기에 에어컨과 흡사한 모양의 PAR을 총 604개 설치했다.

PAR은 원전사고가 수소폭발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핵심 안전설비다. 백금의 촉매작용을 이용해 격납건물 내부의 수소농도를 저감시키는 장치로, 지진이나 쓰나미와 같은 중대사고 발생 시 별도의 전원 공급이나 조작이 없어도 자동으로 수소를 제거한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은 격납용기 내부의 수소가 제거되지 않아 폭발했다.

박재호 의원실이 한수원을 통해 월성 3호기에 설치된 31대의 PAR 중 7대를 우선 점검한 결과 이중 3대의 주변부에서 지름 15mm, 깊이 47~59mm 크기의 홀이 발견됐다. 2013년 PAR 설치 작업자들이 앵커볼트가 제대로 박히지 않자 되메움 없이 다른 곳에 구멍을 뚫고 철수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박 의원의 설명이다.

박재호 의원은 “원전 격납건물은 대형사고 발생 시 최후의 보루이기 때문에 외벽이든 내벽이든 100% 완전무결해야 한다”며 “지진 등 외부요인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다면 작은 홀 주변부에서 균열로 발생해 사고 위험성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원전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국가 최고 등급의 안전시설이자 최후의 방호벽인 격납건물에 구멍이 뚫린 이번 사건에 대해 원인 규명을 통한 책임자 처벌은 물론 전 원전의 대대적인 안전점검과 작업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박 의원의 주장이다.

▲ 격납건물 내 PAR 설치 위치 개념도(자료 제공: 한수원).
이같은 박 의원의 주장에 대해 한수원은 즉각 해명에 나섰다. 한수원에 따르면 월성 3호기에 설치된 수소제거설비는 격납용기 벽면이 아닌 격납건물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설비를 구분하는 격실 벽에 설치된 것이다. 이는 기밀성을 요구하는 격납건물 벽체가 아니기 때문에 격납건물의 구조적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것이 한수원 측의 설명이다.

한수원은 월성 3호기를 포함한 전 가동원전에 대해 앵커홀 점검을 시행하고 되메움 되지 않은 부분이 확인되면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재호 의원은 20일 당내 전문가와 함께 월성원자력본부를 방문, 격납건물 내 천공 발생 경위 등을 보고받고 원전 안전성 확보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PAR 설치 당시 작업자로부터 이 같은 사실을 접하고도 묵살했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도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