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누적 소형저장탱크 설치량 5만대 돌파

▲ 소형저장탱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LPG소형저장탱크 설치 전경
[에너지신문]  정부 사업 ‘마중물’…품질·안전관리 구축 필요

소형저장탱크, 본격 대중화
전국에 설치된 LPG소형저장탱크가 지난해까지 5만 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가스안전공사가 집계한 소형저장탱크 설치 현황에 따르면 누적 기준 지난해 설치된 LPG소형저장탱크는 총 5만 812개였다.

2014년 누적 설치량이 4만 3005개였음을 고려하면 1년 사이 7807개가 증가한 셈이다. 일부에선 시장 포화를 예견하기도 했지만, 전년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연도별 소형저장탱크 설치현황을 살펴보면 보급이 20008년 1만 2303개 2009년 1만 899개, 2010년 2만 4073개, 2011년 2만 9130개, 2012년 3만 2032개, 2013년 3만 5457개로 급속도로 증가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용량별로는 전년대비 0.5톤 이하가 6090개 증가한 2만 6163개로 전체 설치 탱크의 51.5%를 차지했다.

이어 △0.5톤 초과~1톤 이하가 1888개 증가한 1만 2917개(25.4%) △1톤 초과~1.6톤 이하가 62개 감소한 2263개(4.45%) △1.6톤 초과~2톤 이하가 206개 증가한 2764개( 5.44%) △2톤 초과~3톤 미만이 214개 감소한 6811개(13.4%)로 조사됐다.

당초 LPG소형저장탱크는 2000년대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특히 식당이나 집단거주처 등 대량 수요처에서 용기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안전관리가 원활한데다 미관측면에서도 우수해 선호도가 높아졌다.

여기에 0.2, 0.5톤 소형저장탱크 등장은 보급 확산에 날개를 달았다.

▲정부, 소형저장탱크 확산 마중물
이같은 소형저장탱크 대중화는 정부의 정책사업이 마중물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저소득층의 에너지복지 향상을 위해 이 사업을 시작했다.

당시 도시가스 미공급 농어촌지역 주민들은 낮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도시지역 주민들보다 비싼 연료(LPG용기, 등유 등)를 사용하고 있어 도시와 농어촌 간 에너지사용 불균형 심화는 정부의 골칫거리였다.

통계청 가계비 지출 조사에 따르면 가정용에너지 비중은 소득 하위 10%에서는 10.8%인 반면 소득 상위 10% 가구에서는 3.3%에 불과했다. 실제 농어촌거주 가구 월평균 경상소득은 222만원으로 도시 347만 원에 비해 낮지만 난방비용은 오히려 더 많이 지출하고, 소득에서 에너지소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다.

특히 이들이 주요 사용하는 LPG는 도입 원료비가 상대적으로 비싸고 용기로 공급하는 경우 복잡한 유통구조로 인해 도시가스보다 가격이 약 2배 정도 높았다.

해결책으로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도시가스 공급, LNG탱크로리 공급, LPG소형저장탱크 공급 등 다양한 경우의 수를 두고 경제비용을 분석한 결과 LPG소형저장탱크 보급의 경제적 편익이 가장 높았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사회복지시설 1800개소에 소형저장탱크를 보급하는 사업을 시작했다.같은 해 LPG업계는 이 사업이 에너지복지 해결책임과 동시에 LPG수요 개선 방안으로 높은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LPG사용자의 가장 큰 부담이자 문제였던 요금 절감과 안전관리 개선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LPG수입사들의 단체인 대한LPG협회가 자금을 출연하고, LPG충전사업자들의 단체인 한국LPG산업협회가 실무를 맡아 농촌 마을인 천안시 성거읍 삼곡마을에 소형저장탱크를 활용한 배관망 구축을 시범적으로 수행했다.

설치 후 3개월간 가구당 평균 취사·난방비를 조사한 결과 43만 3182원으로 이전 61만 4692원보다 18만 1510원, 즉 29.5%의 비용절감 효과를 얻었다. 사용편의성과 안전관리, 미관도 대폭 개선돼 만족도가 높았다.이에 정부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 마을단위 301개소,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군(郡)단위 12개소에 LPG배관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2014년 하반기 유가급락 후 저유가가 이어지며 연료가격이 하락하면서 사업 효과는 극대화됐다. 우수한 성과에 경기도와 충남도는 아예 자체예산을 들여 각각 16개, 6개 마을에 배관망구축사업을 진행 중이며 지자체 사업은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농어촌 주거시설 또는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그 물량이 많아 관련 사업 부흥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 또한 정부가 소형저장탱크 설치에 따른 이점, 즉 에너지비용절감 및 안전관리 향상, 편의성과 미관 개선 등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면서 민간의 수용성도 높아졌다.

정부 사업이 소형저장탱크 보급 대중화를 견인한 셈이다.

지난해 검사를 받은 3톤 미만 LPG소형저장탱크는 1만 7109기를 기록했다
▲이제는 품질·안전관리 신경써야
소형저장탱크 보급 확산은 LPG시장에 새로운 활로가 되고 있다. 특히 위축된 수요 개선을 견인하며, 시장 재도약의 발판이 돼 주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가정상업용 프로판 소비량이 82만 8000톤을 기록, 전년에 비해 14.2% 늘어났다.

이는 대부분 정부 사업을 통한 배관망 설치 가정의 소비량으로 분석된다. 향후 단위가 큰 군단위 배관망까지 구축된다면 소비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 전망이다. 유관업계에도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되고 있다. 특히 소형저장탱크업체들이 직접적 수혜를 입고 있다.

가스안전공사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검사를 받은 3톤 미만 LPG소형저장탱크는 1만 7109기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1만 2441기) 보다 37.52%(4668기) 늘어 역대 최대치를 갱신했다.

소형저장탱크 생산량은 2010년 3788기, 2011년 5425기, 2012년 5125기 등 소폭 증가하다 2013년 8615기로 급증하며 2014년 1만 2441기, 2015년 1만 7109기로 치솟았다. 올 6월까지 9607기로 집계돼 현 추세라면 2만 기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 정책 외 민간에서도 벌크공급으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선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우려도 있다. 지나친 경쟁으로 스스로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에서 소형저장탱크를 수입·생산하는 주요 업체로는 다임폴라특장, 부영에너지, 유인솔루션, 앤젠, 한국아이티오, 현진티엔아이 등 6개사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최근 생산 제품군을 확대하거나 회사 간 영업 협력, 해외사와 제조 협력 등 각자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영업현장에서 판매처 확보를 위해 지나치게 가격경쟁을 벌이거나, 경쟁사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를 흘리는 등 비신사적인 행보를 보이는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또한 넘쳐나는 주문을 맞추기에 급급해 품질관리 및 안전관리에 일부 소홀함이 드러나기도 한다는 후문이다.

때문에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안전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밸브 등 저장탱크에 부착하는 다양한 부품에 대한 관리 체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행 법에 따르면 소형탱크에 부착되는 부품 중 안전밸브와 글로브밸브, 볼 밸브, 압력조정기만 가스안전공사의 검사품으로 지정돼 있으며, 500kg 미만의 소형탱크에는 성능인증을 받은 고압호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하지만 과충전방지밸브 등 대부분 부품이 검사품이나 성능인증품에서 빠져있다.

이를 악용해 일부에서는 제대로 시험도 없이 제품을 가공해 사용하고 있어 업계의 우려가 크다.한 업계 관계자는 “소형저장탱크가 일반 가정에까지 보급되고 있다”며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지금의 검사수준이나 방법으로는 안전을 기대할 수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나래 기자jeong@ienews.co.kr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