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요기술로 분류ㆍ기술개발 및 상용화 추진키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이 본격 도입될 전망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온실가스 감축목표(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 30%)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기술로 분류하고 도입 추진 중인 환경부는 이와 관련 제8차 녹색성장위원회의에서 부처 간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CCS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세계 각국에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시설이 상용화되고 CCS의 법적제도 마련과 이들 기술의 구체적인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북미,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미생물, 동위원소 등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및 누출 모니터링'과 '지중 이산화탄소의 거동연구'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 CCS의 법규를 마련 시행하고 있다.

반면, 캐나다에서 최근 저장시설 주변에서 이산화탄소 누출이 의심된다는 민원이 제기되면서 누출 여부 확인이나 주변 환경영향에 대한 문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환경부 소속기관은 5일 제2차 국제 CCS 환경포럼을 개최하고 전문지식과 함께 선진국의 선행연구 경험을 공유, 위험요소 파악 및 대응방안 모색에 나서고 있다.

캐나다, 미국, 독일, 일본 등 국내외 관련 전문가 8명이 초청된 포럼에서는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환경관리 분야로써 모니터링 및 검증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2010년부터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공동 주최하는 국제 CCS 환경포럼은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환경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르고 있다.

한편 IEA(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equestration: 이산화탄소를 포집, 압축해 땅속이나 해저에 저장하는 과정) 기술은 2050년 전세계 온실가스 감축량의 19%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