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경룡 한전 전력연구원 창의미래연구소장

[에너지신문]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의 탄생과 성장에 있어 기념비적인 몇 개의 일자가 있다.

1972년 3월 12일 베스트셀러로 세계를 뒤흔든 ‘성장의 한계’가 발간됐다. 이 책은 현재의 성장 추세가 변하지 않는 한 유한한 자연환경 때문에 앞으로 100년 안에 성장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1994년 3월 21일은 기후변화협약 발효일이다. 192개 국가가 참여한 가운데 인류에게 드리워진 온실가스에 의한 암운을 인식해 스스로 굴레의 테두리를 만든 날이다.

2005년 2월 16일은 교토의정서 발효일이다. 1997년 교토의정서를 체결한 후 8년 동안 수많은 산고 끝에 실질적 감축 대상국과 그 규모를 담아내었다.

2011년 12월 9일, 17차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CCS가 청정개발체제(CDM) 구현 기술로서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인정받는다.

2005년 G8의 CCS에 대한 의지를 바탕으로 2008년 CCS 활용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 권고안을 채택하는 등 CCS에 대한 아낌없는 정성이 빚어낸 결과였다.

최근인 2015년 12월 12일은 新기후체제를 위해 파리협정을 채택한 날이다.

선진국에게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여했던 교토의정서와 달리 파리협정은 개도국을 포함한 195개 당사국 모두에 감축 의무를 부여한 포괄적 합의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2005년 현 시대 환경의 수장이라 일컬어지는 니콜라스 스턴경이 “세계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지구온난화 대책 비용이 세계 GDP의 5~20%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타임지는 ‘Are we making hurricanes worse?’ 라는 제목으로 기후변화 인식과 대안을 제시한 바 있다.

논쟁의 시간은 이미 지났고, 우리는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있으며,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아 생기는 비용은 교토의정서 등 우리가 내놓는 대안에 의한 비용보다 훨씬 클 것을 우려하면서 인류 모두가 나서야 함을 일깨웠다.

모두들 CCS의 비용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그러나 IEA에서 발간된 ETP 2015는 CCS의 경제성과 활용성에 대한 세간의 판단을 바꾸고 있다.

2050년 BAU 기준 55G톤으로 늘어나게 될 이산화탄소 배출을 산업화 이전 기준 대기 온도 이내로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현재 배출량의 절반 이하인 15G톤만을 배출해야 하며 그 억제 수단으로 CCS를 통해 감축돼야 하는 수준이 전체 감축량의 13%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나아가 CCS 없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체 저감 비용이 70%나 상승됨을 지적해 CCS의 효과적인 면을 잘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흡수제 독자개발과 공정 개발 등은 세계적 수준이다.

규모에서도 연소 후 10MW 포집 실증 플랜트는 일본, 미국을 과 수년 차로 추격 중이다. 아울러 수 백 MW급 프로젝트의 가시화 등으로 앞서 갈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수송기술의 경우 이미 구축된 선박기술과 파이프 기반 기술은 선진국 반열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저장기술은 국내에 원유, 가스 등 광물자원의 빈곤함과 함께 기술 확보가 늦어 분발이 필요하다.

CCS의 조기 활용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기술 실증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부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감축 규제 이전에 대규모 실증을 통한 기술 완성을 위해서는 법제화를 통한 기반구축이 필요하다.

온실가스 저감 정책에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탄소세가 있을 수 있다. 이런 정책을 통해 규제 시행 이전이라도 기업의 적극적인 상용급 수용을 유도해야 한다. 아울러 신설 발전소에 대한 ‘capture ready' 개념을 국내에도 도입해 온실가스 배출의 고착화을 막아야 한다.

‘CO2 전쟁: 미래 경제 주도권 싸움 시작’에서 온실가스가 재앙인가, 돈인가를 묻고 있다.

이제는 CCS 관련자 모두가 이에 화답해야 할 시점이 됐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져진 CCS 기술은 이제 경제의 한 축이 됐고, 우리나라의 모든 전문가들이 실질적 경제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사(戰士)가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