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지난달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에서 지구온도 2℃ 상승 억제를 포함한 협정 채결로 향후 우리나라는 전보다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필요하게 됐다.

하지만 국내에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발전소·제철소·정유화학공장 등의 산업부문은 그동안 지속적인 노력으로 에너지효율이 세계 최고수준에 도달해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이 고갈상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문제를 해결할 해답으로 산업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이 많은 건물부문에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특히 ‘제로에너지건축’이 대세로 떠오르는 모양세다. 제로에너지건축은 단열재, 창호 등을 통해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고, 태양광·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 활용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지칭한다.

국토부는 최근 ‘제로에너지빌딩’ 사업을 2025년까지 의무화 하고 서울 장위4구역 및 ‘천호동 가로주택정비사업’, 아산 중앙도서관 등 3곳의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작 국민들은 제로에너지빌딩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제로에너지 건축은 고단열·고기밀 설계, 최적화된 에너지시스템, 기밀·열교차단 시공, 열회수환기시스템 도입 등 기존 건물과는 완전히 다른 설계와 자재, 시공이 필요해 20~30% 비싼 건축비가 제로에너지빌딩 도입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은 비단 에너지비용만 절감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로 유입되는 중금속에 오염된 미세먼지나 꽃가루 등을 환기필터에서 걸러내기 때문에 항상 쾌적한 실내 환경이 유지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라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에 ‘제로에너지빌딩’은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정부가 최근 목표로 하는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및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해서 추진체를 구성, 대국민 교육과 홍보를 포함한 정보플랫폼 구축 등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