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올해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신조어는 ‘금수저’와 ‘헬조선’으로 알려졌다. 노력해도 지금의 상황을 벗어날 수 없다는 청년세대의 좌절감을 보여준다.

심각한 청년실업의 영향이다. 정부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이 많다. 당장의 수치에만 목맨 정책은 오락가락할 수밖에 없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취업대상, 즉 청년층이 받는다는 것.

실례는 쉽게 찾을 수 있다. 정부가 양성한 해외자원개발산업 인재는 정부의 변심에 갈 곳을 잃었다.

정부는 2009년 10개 대학을 ‘자원개발 특성화대학’으로 선정하고 인재영입에 열을 올렸다. 전문인력으로 양성, 양질의 취업까지 보장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에 우수학생들이 다수 지원했다. 당시 자원공학과는 이공계열 최상위권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는 인기학과였다.

6년이 지난 지금,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지난 정권의 비리유착의혹과 눈덩이처럼 불어난 공기업 부채에 정부는 칼을 빼들었다. 성공불융자 예산은 아예 전액 삭감해 민간기업의 투자도 가로막았다.

산업의 위축은 신규 채용을 가로막았다. 실제 올해 자원공기업의 자원개발 인력 채용은 한건도 없었다. 갈 곳 잃은 학생들은 약학전문대학원 진학 등 새로운 진로를 찾아 나서고 있다. 간신히 토대를 마련한 자원개발 인재양성 시스템도 쓸모를 잃어가고 있다.

IMF 이후의 재림이다. 광구 매각으로 인재양성의 맥이 끊기며 국내 자원산업은 후퇴, 고유가 시기에 훨씬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부정부패와 방만경영 등의 해외자원개발 문제는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하지만 정쟁의 도구로 산업을 비난하고, 이에 정책이 휘둘리는 것은 위험하다.

우리나라는 자원빈국이다. 저유가는 보유자산의 손해를 불러오지만 신규 유망 자원확보의 기회이기도 하다. 중국과 일본이 내년 사상 최대 예산을 투입해 해외자원확보에 나선 이유다.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산업 활성화와 고용 창출이라는 선순환 구조의 ‘지속가능한’ 해외자원개발산업을 구축해야 한다.

산업의 특수성을 토대로 한 냉정한 평가와 분석을 바탕으로 보다 장기적이고 일관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무엇보다 우수 인재들에게 약속한 미래를 정부가 반드시 되돌려 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