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시대가 바뀌면 그 문화도 그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인지상정 하지만 변화가 무색한 곳이 바로 현 국내 LPG산업인 듯 하다.

국내 LPG산업도 소형저장탱크의 보급 확대와 마을단위 배관망 사업이 시작되면서 최근 많은 변모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옛 모습을 고집하며 달라지지 않는 분야가 있다. 바로 판매업계를 중심으로 한 LPG 용기분야다.

노후용기의 교체를 목적으로 LPG용기 사용연한제가 도입됐지만 이 제도는 업계의 반대로 불과 시행 반 년 만에 백기를 들었다. 이를 계기로 현재 국내 용기제조사들은 큰 시련을 맞고 있다.

제도의 시행과 함께 다량의 신규용기가 필요할 것이라 예상해 뛰어든 용기생산업체들과 수입사들은 제도의 후퇴로 적게는 수억에서 많게는 수백억의 손실을 봤다.

특히 일부 업체는 제품공급이 중단되며 부도 또는 부도위기를 맞고 있다. 용기수입상들 역시 뒤바뀐 현실 속에 손실을 줄이기 위해 수입한 용기들을 손절매하면서 한 때 6~7만원대(20kg 기준)을 호가하던 용기가격은 현재 생산원가도 못 미치는 4만원 이하로 떨어졌다.

가격만을 본다면 이러한 상황은 소비자에게 다행일지 모른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시장 상황은 소비자들에게 아무런 혜택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여전히 소비자들은 불안한 노후용기를 사용하면서 비싼 가스값을 치르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 유가의 하락으로 LPG 가격은 역시 크게 하락했다. 하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문제 역시 적지않다. 5000~6000원이면 택배를 통해 전국으로 물건을 보내는 시대를 맞았지만 여전히 수 많은 LPG 사용자들은 가스값 만큼이나 비싼 배달비를 감당하고 있다.

지난주 LPG충전소의 평균 공급가격은 kg당 956.55원 이었다. 하지만 판매점의 공급가격은 이보다 무려 0.8배 높은 1743.51원이었다.

물론 수요급감이나 예전보다 못한 판매업계의 상황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현재 1만 9000원이면 충전소에서 구입할 수 있는 LPG를 판매점을 통해 가스를 배달 받으며 개당 1만 5000원씩이나 더 값을 치르고 사용하는 것은 LPG업계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임이 분명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