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호현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사무처장

30년만에 이룬 숙원사업 ‘방폐장 준공식’
“무조건적인 불신보다는 응원·격려 기대”

[에너지신문] 2015년 우리나라 원자력계에는 굵직한 일들이 제법 많이 일어나고 있다. 중요성이야 쉽게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가장 의미 있는 행사는 지난 8월 28일에 열렸던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준공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1986년부터 시작돼 30년 동안의 우여곡절 끝에 이룬 숙원사업으로 이제 각 발전소별로 보관해오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집중해서 보다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그야 말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날이다.

이에 앞서 지난 4월 20일에는 우리나라가 1978년 고리 1호기 전력생산 이래 37년 만에 누계 원자력발전량 3조kWh를 달성했다.

3조 kWh는 서울시 전체가 65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며 이를 화력 발전으로 대체했을 경우 약 445조원의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규모이다. 또한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약 20억톤으로 환경적 효과 또한 매우 크다고 하겠다.

그리고 7월 24일, 한국표준형원전으로 12번째이자 마지막으로 건설된 신월성원자력 2호기의 준공을 꼽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국내 원전 가동기수는 총 24기가 됐으며 설비용량은 2만 1716MW로 총 발전설비의 22.5%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신월성 2호기는 건설 과정 중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강도 높은 안전성 강화 대책을 마련해야하는 등 어려움을 겪은 바 있지만, 이번 준공으로 대구·경북지역 연간 전력 사용량의 약 13% 해당하는 연간 79억kWh의 전기 생산 능력을 갖춰 여름철 안정적 전력 공급에 크게 기여했다.

지난 2일에는 해외에서 전 세계 원자력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두 가지 행사가 있었다. 먼저 UAE에서는 우리가 건설하고 있는 바라카원전 4호기의 최초콘크리트 타설이 UAE 에너지장관 등 정부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시행됐다.

이는 우리나라 기술로 개발된 APR1400 원전 4기가 한 부지에서 동시에 건설되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례로서 우리의 원전 건설 분야의 우수한 기술력을 전 세계에 알린 좋은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의 중동 순방 기간에 서명한 스마트 원전 관련 양해각서의 후속조치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사우디 왕립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 간에 스마트원전 건설 전 상세설계 협약 체결식이 있었다.

▲ UAE 원전 건설 현장.

사우디에 2기의 스마트 원전을 건설하고 사우디 내에 추가 건설 및 제3국 공동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이 협정으로 UAE 상용 원전,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수출에 이어 소형 스마트 원전 수출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원자력 기술 강국으로서 국제적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됐다.

이처럼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형태로 국민 삶의 질 증진과 국가적 위상 제고에 기여해오고 있다. 미국의 TMI 사고, 체르노빌 사고, 그리고 일본 후쿠시마 사고를 겪으면서 그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성을 꾸준히 증진시켜 왔으며, 기술력의 축적을 통해 한국 표준형 원전 등 독자적 기술 자립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국가 차원의 재원 조달 문제만 해결된다면 상용 원전의 해외 진출은 상당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원전 정책의 변화가 있었지만 대형 사고가 발생했던 미국, 러시아, 일본을 포함한 상당수의 국가들에게 원자력은 아직 포기할 수 없는 중요한 대안으로 평가 받고 있다.

미국은 TMI 사고 이후 중단했던 원전 건설을 재개, 5기를 건설 중이고 5기를 추가로 계획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원전에 대해 20년간의 연장 운전을 승인해가고 있다. 러시아는 로스아톰이라는 대형 국가 원자력 기관을 설립하고 자국 내 원전 건설뿐 아니라 전 세계 원자력 수출 시장을 지배하려 하고 있다.

▲ 신월성 1,2호기 전경.

핀란드, 터키, 헝가리, 베트남, 이집트 등 많은 나라들이 그 대상이 되고 있다. 일본도 원전 제로 정책을 뒤집고 센다이 1호기가 지난 8월 재가동에 들어갔으며 2020년까지 원자력 비중을 20∼22%로 증가시킬 전망이다.

중국도 엄청난 규모로 원전을 건설, 우리나라를 추월했으며 세계 수출 시장에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그만큼 세계 원자력 시장은 경제성, 연료 공급의 안정성, 그리고 새로운 기후 변화 체제의 대응 방안으로서 전망이 밝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의 원전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해 세계를 주름잡고 그 위상을 떨쳐 나가려면 국민적 신뢰와 지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원자력 사업자의 실추된 위상 제고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안전 운전을 통한 신뢰 회복이 우선돼야 할 과제겠지만, 원자력에 대한 국민적 시각 역시 무조건적인 불신보다는 소중한 우리의 자산이라는 관점에서 응원과 격려를 통한 긍정적인 분위기로 변화되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