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최근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진출한 기업 다수가 수년째 실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해외시장에서 중국 등 신흥국의 저가공세로 경쟁이 치열하고 국내는 수요침체로 성장이 정체돼 안정적인 매출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많은 기업이 경영난에 어려움을 겪고 시장에서 퇴출됐다.

신재생에너지는 힘든 사업이라는 산업계의 부정적 인식도 점차 강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진출한 대다수 대기업이 사업을 축소하고 투자를 관망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안그래도 어려운 환경인데 신재생에너지사업의 위험요소가 하나 더 늘었다. 바로 빠르지 못한 정부의 정책결정이다. 정부는 최근 신재생에너지분야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인 태양광과 비태양광시장을 결국 내년부터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정책으로 태양광REC의 거래 규모가 전체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일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그 만큼 중요한 정책이다. 하지만 당초 올해 상반기 내 발표 예정이던 정책 발표를 계속 연기한 끝에 8월 말에야 발표했다.물론 태양광 업계와 비태양광 업계가 각각 자신들에 대한 가중치 상향 조정을 요구하면서 정부가 고심한 것은 이해한다. 정책이 나와야만 내년도 투자계획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정책을 기다리며 발만 동동 구른 신재생에너지업계 등의 입장도 이해해야 한다.

신재생 산업은 아직 정부 의존도가 크다. 국내 시장규모는 RPS 의무량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정부의 발빠르지 못한 정책은 곧바로 신재생에너지 업계의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신재생 산업은 미래 먹거리에 목적을 두고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해야하는 사업 중 하나로 그만큼 장기적 관점이 필요하다.

정부가 신재생산업 활성화를 위해 규제개선에 힘쓰고 있지만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업계가 대응할 수 있는 발빠른 정책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