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방치되고 있는 휴폐업 주유소들이 우후죽순 늘어나 도시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각종 범죄에 이용될 소지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도심을 벗어나 외곽지역으로 눈을 돌리면 높은 캐노피를 한 건물에 건축자재들이 마구잡이로 쌓여 있는 곳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폐업조차 하지 못해 방치되고 있는 휴업주유소들이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주유소 거리제한제가 폐지된 후 급증한 국내 주유소 수(휴업주유소 제외)는 2010년 1만 3004개를 정점으로 2011년 1만 2901개, 2012년 1만 2803개, 2013년 1만 2687개, 2014년 1만 2472개로 줄었다. 여기에 주유소업계의 과당 경쟁으로 마진이 줄면서 휴업 주유소도 속출하고 있다.

문제는 환경복원 및 시설철거비 등 수억원에 달하는 폐업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휴업주유소가 늘어나면서 각종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방치되는 휴업주유소는 불법거래 등 범죄의 온상으로 전락하고 있고, 관리 미비로 인해 도시 미관은 물론 안전 위험 등으로 지역사회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사적 이익을 목적으로 건설된 시설에 대한 철거를 위해 100% 공적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찬성할 수 없다. 하지만 이미 개인의 차원을 넘어 범죄의 도구로 전락하고 있고, 지역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이 도를 넘어선 수준이라면 차후의 사회적 비용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외면과 방관이 대안은 아니다.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