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전력손실↓ 속도↑ 차세대 반도체개발 가능성 높여

▲ 구현철 KIST 스핀융합연구단 박사
[에너지신문] 스핀트로닉스 소자는 전자의 전기적 특성과 자기적 특성을 모두 이용하는 차세대 전자소자로, 실리콘 이후 차세대 반도체 소자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소재다.

스핀이 시계방향으로 돌면 “0”, 반대방향으로 돌면 “1”로 인식해 전자 하나가 1비트가 되는 원리로, 전자의 스핀은 제어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스핀정보를 전압으로 제어하고 전기신호로 바꾸는 것이 스핀트로닉스 소자의 활용여부를 가늠하는 핵심이다.

현재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은 스핀을 홀 전압으로 전환하는 스핀 홀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존에 스핀 홀 현상을 이용한 소자는 스핀정보가 전기신호로 바뀌는 과정에서 전자간에 충돌이 발생했었다. 그러나 KIST 연구팀이 전자간의 충돌 전에 원하는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를 외부에서 제어하는 방법을 이용해 전자소자를 구현해 주목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구현철·장준연 박사 연구팀은 ‘전압으로 스핀정보를 제어하고 신호 손실 없이 전기정보로 바꾸어 주는 스핀 홀 전자소자를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일반적인 홀 효과는 전기가 흐르는 채널에서 자기력을 가해 전자의 방향을 측면방향으로 이동시켜 측면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스핀 홀 현상은 이와 달리 전자가 갖고 있는 스핀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방향이 달라지고 이 전자의 이동을 전압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 분자선 결정성장을 이용한 초고속 반도체 층 분자선 증착장치.

KIST연구진은 이러한 스핀 홀 현상을 이용, 스핀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꾸데 성공했다. 초고속 인듐비소 (InAs) 채널을 사용해 전자간의 충돌을 거의 억제하고 충돌 전에 스핀 홀 현상을 발생시켜 전압을 측정한 것. 이를 통해 신호의 감소를 최소화 했다.

이번 연구는 무손실 스핀 홀 현상전압으로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트랜지스터나 로직소자로 사용가능함을 보여주었고 스핀의 주입부터 스핀의 제어까지 모두 전기신호를 이용한 세계최초의 실험이다.

구현철 KIST 스핀융합연구단장과 최원영 연구원은 “이번에 보여준 방법은 기존소자에서 항상 존재했던 전자 간에 충돌로 인한 신호 손실을 없애고 초고속 반도체 채널이 가지는 무손실 스핀-전기 전환 현상을 이용했기 때문에 현재 반도체 소자개발에 가장 핵심요소인 저전력화에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결과다”고 밝혔다.

최근 출범한 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장준연 소장은 “실리콘 이후 시대에 필요한 저전력 소자의 동작을 보여줌으로써 산업계가 실패가능성의 위험성이 있어 적극적으로 연구할 수 없는 반도체 스핀트로닉스의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결과” 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차세대 반도체 후보인 화합물 반도체 채널과 무손실 스핀 홀 효과를 결합한 연구로 상대적으로 열세인 국내 비메모리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09년 세계최초 스핀트랜지스터 기술개발에 이어 무손실 스핀 홀 소자까지 보여줌으로써 반도체 스핀트로닉스 분야의 기술을 선점하였고 관련분야를 주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스핀 홀 전자소자의 모습.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