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힘차고 활발하게 움직여 완전히 바꾸어 새롭게 한다.”

새로 나온 격언과도 같은 이 문구는 정부가 제시한 올 한해 정책방향이다.

현 정부가 집권 초기 들고 나온 ‘창조경제’의 뜻을 둘러싸고 이러쿵저러쿵 사설들이 오간 탓이었는지, 올해는 그나마 이해하기 쉬운(?) 단어들이 선택됐다.

‘역동적인 혁신경제.’

정부는 올해 해외진출 촉진으로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제고하겠다고 공언했다.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해양플랜트 엔지니어 등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중점 유치하고, 수출 6000억 달러 달성, 외국인 투자 200억 달러 유치를 목표로 내세웠다.

해외진출 다변화를 위해 정상외교를 활용하고, 그에 대한 일환으로 UAE 원전운영계약 등 주요 프로젝트에서 100억 달러 이상 수주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중동·중남미 등의 에너지·인프라 및 공공부문 진출 확대 △민관 공동의제 발굴 등으로 성과 극대화 △대기업·공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 수주 추진 △수출 유망지역에 대한 해외 마케팅 지원 강화 등 다양한 계획들이 제시됐다.

하지만 이처럼 정부의 역동적인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화답하기 어려운 쪽도 있다.

저유가로 인해 수요처를 잠식당하는 가스업계는 물론,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는 석유업계, 가격경쟁력에서 한참 뒤떨어져 보급 확산의 목소리를 내기도 힘든 신재생에너지업계 등 에너지업계 전반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석유업계에서는 자유시장임에도 불구하고 “떨어진 국제유가를 적시에, 충실히 반영하라”는 정부의 압박이 이어지고 있고, 소외받는 에너지원 LPG업계도 수요 감소세를 되돌리기 위한 돌파구 찾기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시장 침체기를 본격적으로 맞고 있는 도시가스업계는 이제 영업이익 반토막을 걱정하는 신세가 됐다. 특히 올해는 벌써부터 ‘1월의 봄’이 도래한 데다, 저유가에 따른 산업용·수송용 도시가스시장 침체가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돼 그 어느 때보다 시름이 깊다.

‘역동적인 혁신경제.’ 무엇을 활발하게 움직이고, 무엇을 바꾸어 새롭게 하자는 말인가?

올 한해 에너지업계의 역동과 혁신도 기대해 볼 수 있을런지 자못 궁금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