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등 전력공기업 지방이전 ‘러시’

▲ 경주 방폐장 조감도.

[에너지신문] 올해 원전 분야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로 경주방폐장 1단계 사업승인을 들 수 있다.

활성단층 유무 논란으로 그 안전성에 끊임없는 의문이 제기됐으나 최근 원안위의 최종 승인을 얻어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경주방폐장 사업자인 원자력환경공단은 이를 바탕으로 2단계 사업에도 추진력을 얻게 됐다.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사용후핵연료 처리를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청취, 수렴했다. 공론화위는 경과보고를 통해 “핵폐기물 영구처분 시설은 2055년을 목표로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1년이라는 기간은 각계 의견 수렴과 이를 바탕으로 명확한 해법을 제시하기에는 너무 짧은 기간이기 때문에 위원회 활동 기간을 4개월 정도 더 늘릴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정부에 제시했다.

올해는 전력그룹사의 지방이전이 대부분 완료됐다. 지난 6월 울산에 새둥지를 튼 동서발전을 시작으로 10월에는 남부발전이 부산시대를 열었다.

11월에는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전을 비롯해 전력거래소, 한전KPS, 한전KDN이 일제히 나주 혁신도시로 이전을 완료해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전력공기업들의 지방이전이 대부분 마무리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각자 지역에서 새롭게 출발할 예정이다. 지역경제발전 및 고용창출과 같은 ‘상생사업’도 집중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수원은 올해도 여러가지 사건들로 곤혹을 치렀다. 지난 9월 한빛원전에서 근무하던 한수원 직원이 방사성폐기물 관리 용역업체 직원에게 원전 내부 전산망에 접속할 수 있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알려주고 무단 접근을 허용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최근 터진 내부자료 유출 및 공개 사건은 원전비리로 잃었던 신뢰를 되찾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해오던 한수원에 결정타를 먹이고야 말았다.

운전기한이 끝난 월성1호기에 대한 계속운전 여부와 관련된 논란도 있었다.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이 계속운전을 강력히 반대하는 상황에서 최종 승인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내부 설비 교체에 이미 5600억원을 투자한 상황에서 계속운전을 승인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는 특히 전력그룹사들의 도덕성 문제가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지방이전 공공기관들의 호화 사택문제와 직원들의 비리 등이 집중 질타의 대상이 됐다.

이밖에도 세계 최장 5000일 무고장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한 보령화력과 1년간 8개의 모든 발전기가 단 한번도 고장나지 않은 당진화력이 무고장 우수사례로 주목받았다.

한편 하반기에는 기관장 교체도 있었다. 임수경 한전KDN 신임 사장이 지난 10월, 이어 유상희 전력거래소 신임 이사장이 지난 11월 각각 취임식을 가진 바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