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상승, 경제성장률 악화, 근무일수 감소 등 요인

▲ 전력원단위(TWh/조원) 추이
[에너지신문]  에너지경제연구원이 2011년 이후 전력소비 증가 추세가 완화됐다는 분석을 내놨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최근의 전력수요 둔화는 증가 추세 완화 속에서 단기적인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대비 높은 경제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올해 전력수요 증가율은 지난해(1.8%)보다 저조했다.  올해 1~3분기 평균 경제성장률은 3.5%로 전년동기대비 0.8%p 상승했지만 1~9월 전년동기대비 전력수요 증가율은 0.3%에 그쳤다.

이는 세월호 사태의 여파와 온화한 날씨에 따른 난방수요 감소 등의 이유도 있지만 2011년부터 시작된 전력수요 추세선의 기울기 하락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 에경연측의 분석이다. 올해 1~9월 전년동기대비 냉방도일(CDD)과 난방도일(HDD)의 증가율은 각각 5.7%와 -22.4%을 보였다.

이와함께 서비스업 부문의 전력효율 개선이 전력소비 추세 완화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비스업 부문의 전력원단위는 2010년 이후 개선세 뚜렷하게 나타나는 등  서비스업 부문을 중심으로 전력효율이 개선됐다. 

서비스업 원단위는 2010년 0.191 → 2011년 0.187 → 2012년 0.184 → 2013년 0.179로 전력효율이 개선되는 추세다.  2008년 이후 다시 악화되기 시작했던 제조업 전력원단위는 201년 0.601 → 2011년 0.613 → 2012년 0.614 → 2013년 0.612로 2011년 이후 개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던 총 전력의 원단위도 2010년 0.295 → 2011년 0.298 → 2012년 0.298 → 2013년 0.296으로 2011년 이후 소폭 개선되고 있다.

이는 절전에 대한 정부정책 및 이에 따른 소비자의 절전행태 변화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가스냉방의 확대, 백열등의 LED 조명으로의 대체 등으로 시작된 서비스업 부문의 원단위 개선이 2011년 순환정전 이후 정부의 강도 높은 수요관리 및 절전정책으로 가속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낮은 전기요금, 설치장려금 감소 등으로 2005년 이후 하락했던 가스냉방 설치는 2010년부터 장려금 재증가와 공공기관 설치의무화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전기요금 상승, 수출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성장률 악화, 근무일수 감소 등도 추세 둔화의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의 정체 대비,  2013년 11월에 15년만의 최대 전기요금 인상(평균 5.4%) 등으로 실질 전기요금 증가율이 2000~2010년 –1.7%에서 2010~2013년 5.5%로 연평균 실질 전기요금이 증가율이 2010년대에 들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했다. 

또한 중국의 ‘내수주도형 경제로의 전환’ 정책이 성과를 보이며 우리나라 수출의 가장 큰 비중(2013년 기준, 26.1%)을 차지하는 對 중국 수출이 타격을 입으면서 연평균 15% 수준으로 증가해 오던 총 수출증가율이 2012년 이후 2%대로 추락한 것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전력다소비 산업인 조립금속, 철강 및 석유화학 부분의 전력수요 증가율도 2000~2011년 연평균 7.3%에서 2011~2013년 3.4%로 하락했다.  조립금속, 철강 및 석유화학이 총 전력과 산업용 전력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기준 각각 40.8%와 80%에 해당한다.

2010년대 들어 주5일제 근무 정착으로 근무일수가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주5일제 근무제는 2004년 7월 1000인 이상 사업장을 시작으로 해마다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돼 2011월 7월 최종적으로 5인 이상 사업장까지 확대됐다.

이같이 전력소비 증가 추세가 꺽인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전력소비 추세 변화의 구조적 가능성에 대한 심층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 에경연측의 입장이다.

에경연은 전력수요 추세 둔화가 지속되는 요인이 존재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단기간에 중간재 중심의 수출구조를 최종재 또는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바꾸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2014년부터 실시된 대체공휴일제로 근무일수는 향후 더욱 감소할 것이기 때문이다.

에경연은 "안정적 전력수급과 효율적 설비투자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추세변화의 성격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전기요금 명목/실질 연평균 증가율(%)

 

기 간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종합

명목

증가율

‘00~’10

-0.1

-0.1

3.1

1.5

‘10~’13

3.1

8.0

10.0

8.0

실질

증가율

‘00~’10

-3.3

-3.2

-0.1

-1.7

‘10~’13

0.6

5.5

7.5

5.5

주: ‘00~’10년과 ‘10~’13년 기간 중 소비자물가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3.2%와 2.5%임.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