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후쿠시마 사고 이후로 원전에 대한 안전문제는 해마다 화두가 되고 있다. 정부와 한수원이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나 정부에 대한 불신과 ‘관피아’에 대한 거부감이 만연한 상황에서 이는 그다지 와닿지 않는다.

특히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한수원의 원전부품 비리문제부터 최근 발생한 ‘한빛원전 용역업체 직원 아이디 공유사건’ 등 민감한 시기에 터진 일련의 사건들은 국민들로 하여금 진실도 거짓으로 믿도록 유도하고 있다.

스스로 땅을 파고, 관을 짜서 드러눕는 한수원의 이 같은 자폭 행위는 비난 받아 마땅하며, 관계자들이 반드시 책임져야 하는 사안이다. 그러나 한수원의 잘못이 원전 자체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져선 안 된다.

지금도 많은 시민단체들과 국민들은 원전을 없애자고 주장하고 있다. 대신 신재생에너지를 육성하고 국민들의 에너지절약 동참으로 원전의 빈자리를 채울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현재 이같은 방향으로 가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우선 신재생에너지의 자체 인프라 구축이 돼 있지 않다. 예전에 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생산 단가도 많이 낮아졌으며 대중적으로 인지도도 크게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굳이 수치를 언급하지 않아도 원전의 대안이 되기에 갈 길이 너무나도 멀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수명이 완료되는 원전의 계속운전을 포기하고 1기씩 단계적으로 폐기한다고 해도 신재생에너지의 성장 속도가 원전 폐기속도를 따라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울러 원전이 없어진다면 각종 물가가 구름을 뚫을 만큼 오른 현재 상황에서 정부가 최후의 보루로 여기고 있는 전기요금마저 큰 폭의 인상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는 국가 전체의 뿌리가 흔들릴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 될 수 있다.

정부와 한수원이 주장하는 원전의 안전성을 100% 믿을 수는 없다. 이웃 일본처럼 우리나라도 거대한 자연재해가 와서 원전 참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 무엇이 원전을 대체할 수 있는지 물었을 때 당당하게 대답할 수 있는 지도 곱씹어 봐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