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어떤 제품이든 10년을 사용하면 바꿔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그것이 안전과 직결된 제품이라면 말할 나위가 없다.

평균적으로 말하는 LPG조정기 수명은 6년이다. 성능을 결정하는 고무 재질의 다이어프램이 사용기간에 따라 경화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사실을 제대로 알고 있는 사용자는 얼마 되지 않는다. 사실 조정기와 관련한 사고가 흔하지 않기에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가 주지하고 있기는 쉽지 않다.

안전관리를 책임지는 공급자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에서는 가스용품에 권장사용주기를 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고, 이를 사업자들이 관리한다.

2007년 울릉도에서 LPG조정기와 관련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현장에서 문제가 된 조정기는 무려 21년이 지난 제품이었다. 사고발생 1년 전 공급자는 조정기를 교체할 것을 권고 했으나, 오히려 사용자는 다른 공급자를 통해 가스를 계속 사용했다. 결국 사용자는 사고의 피해자가 됐다. “지금까지 잘 썼는데 뭘~.”이란 생각의 끝이었다.

최근 방문한 서민층 LPG시설 개선사업이 한창인 한 독거노인 집에서 1994년 생산된 조정기와 듬성듬성 갈라진 호스를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사고가 나지 않은 사실이 다행스러워 보였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경우가 이 집만의 일일까’란 생각이었다.

자발적인 시설개선이 어려운 서민층 LPG사용자의 노후가스시설을 보다 안전한 금속배관으로 교체해 주는 정부의 서민층가스시설개선사업이 올해로 4년차를 맞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이 사업에 약 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고, 이를 통해 25만6000여가구에 가스사고 위험시설을 교체했다. 천연가스 미공급 지역에 쏟아 부은 총 4조6482억에 비하면 이 사업에 예산은 1/90에 불과하지만, 국내 가스사고의 약 70%를 차지하는 LPG 사고를 실질적으로 줄이는데 큰 기여를 했다.

이제 내년이면 지원사업도 끝이 난다. 그러나 여전히 LPG사용가구 중 30~40%가 가스호스를 사용하고, 이들 대부분이 사실상 도시가스 공급이 불가능한 농어촌 지역의 서민층이란 점에서 시설개소사업의 종료는 모두에게 아쉬울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