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사태 악화에 따라 정부는 부랴부랴 에너지위기경보를 ‘주의’로 격상하고 일부 조명의 강제소등을 실시하는 등 에너지절약 분위기 확산과 대책마련에 분주하다.

주택, 서비스 등 각 업종은 물론 민간경제단체들도 에너지절약 선포를 하고 나서는 등 그어느때보다 고유가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빠른 대처가 언제나 사후 약방식 처리라는 것은 계속된 문제다.

민간부문의 에너지절약 선포도 때늦었고 정부의 대책도 이미 유가가 치솟은 후이다.

국제유가가 급등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국가가 바로 우리나라이다. 에너지의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입장이지만 유가 급등에 따른 대비책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중동사태에 따라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를 넘어서면서 2차 오일쇼크 이상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3차 오일쇼크가 발생하면 세계 경제 성장률이 1.4%P 하락하고 유가가 10% 상승할 때마다 국내물가도 0.7%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처럼 유가가 국내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정착 에너지위기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이웃한 일본이 에너지절약이 생활화돼 있고 고효율기기 보급도 확산돼 있어 갑작스러운 고유가에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것과 비교하면 더욱 그렇다.

고유가 위기는 언제나 닥처올 수 있는 현실이다. 사후약방식으로 ‘화석연료를 대처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의 개발에 나서겠다’, ‘원유수입선을 다변화하겠다’ 는 등의 판에 박힌 대처방안은 당연히 장기적으로 추진해야할 일이다. 고유가에 대처할 수 있는 신선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정책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