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충렬 세계풍력협회 부회장·목포대 석좌교수

신재생에너지는 말 그대로 청정에너지원에서 생산되는 녹색에너지이고, 우리 후세대에 자랑스럽게 기술과 함께 승계해 줄 수 있는 그린에너지이다.

다만 우리가 아직도 직면하고 있는 현실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적 정서도 매우 취약하여 청정에너지 이용을 통한 친환경 녹색에너지개념을 떠나 해외와는 달리 필요성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듯하다.

녹색에너지 산업은 순수한 청정에너지원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얻기 위한 기반산업에 속하나, 이러한 청정에너지원을 제외하면 대부분 태워서 에너지를 얻어야 한다. 태워서 남겨진 폐기물처리(원자력 폐기물 등)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고 이의 처리를 위해 막대한 경비가 들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당선되는 대통령마다 해외순방 길엔 의례히 원자력공사 비즈니스를 우선적으로 하고 있다. 원자력 해외수주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얼마나 얻어 내고 있는지는 알 길이 없다.

국내의 풍력산업이 활성화되기도 전에 외국산에 의해 조성된 풍력단지들의 전력사업이 마치 황금달걀을 낳는 사업으로 입소문이 나고 있다. 그래서 더욱 민원이 그칠 날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국산풍력발전기로 조성된 단지가 어떤 우여 곡절을 거쳐야 만들어 질수 있을까. 이러는 동안 국내 풍력산업은 쇄진 될까 의문이 앞선다.

신재생에너지는 미래 지향적 창조적 신산업성장 원동력으로서 고용 창출을 폭넓게 유도 할 수 있는 산업으로서 활성화 돼야 하나 국산 제품의 풍력단지사업화가 되지 않고 있다. 또 지역경제개발이나 고용창출은 지역이기주의에 희석돼 지역산업체도 희망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이나 정부나 정치인들이 알아야 할 것은 국내는 아직도 제작업체등 중소기업 산업체가 내수시장에 본격적인 진입도 못한 상태다.

기본기술력은 있으나 국산품에 대한 내수시장의 보급이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부품업체들이 양산체제를 위한 생산라인 가동을 준비할 수 없는 현황이다.

우리가 기대하고 있는 해상풍력산업은 신재생에너지 산업 중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기반 구축에 있어 단연 최고의 인프라를 구축 할 수 있다.

풍력산업 측면에서 본다면 육상풍력과 달리 해상풍력은 설치지역이 해상으로서 그 자체가 다변화 돼있기 때문에 부품조달, 기반생산시설, Substructure 생산시설, 해상설치용 장비 및 특수 해상용 운반시설에 필요한 Logistic 구축 등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배후 항만기지 시설도 필요하다.

해외 해상풍력 산업현황을 보자. 해상풍력발전 단지개발로 인한 배후 항만 기지들을 효율적으로 분산 배치해 구축토록 했으며 지역기반시설과 주변 인프라를 조성, 이용하고 있다.

서해안 초기 해상풍력단지 및 향후 추가적인 단지개발를 위해선 지역간 고용창출 및 지역기반 경제활성화를 위해 멀티 배후항만기지들을 미래지향적 구도로 조성할 필요성이 확대 될 것이다.

국내 풍력산업이 살 수 있는 길은 생산의 연속성과 매출의 연속성을 이룰 수 있는 내수시장 활성화밖에 없다.

내수시장의 활력은 국내기술력을 선진기술력과 상응, 발전되게 하고 국산화에 따른 부품산업뿐만 아니라 국산품에 의한 풍력발전 단지개발로 발전하게 됨으로서 지역 경제발전에 막대한 역할을 하게 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국내 유일의 7MW급 풍력터빈의 유럽시장 진출을 목표로 시제품을 완성하고 스코틀랜드에서 실증 시험에 들어간다고 한다. 이제는 우리도 앞서가는 유럽 풍력기술에 도전 할 수 있는 계기가 조성되고 있는 것이다.

녹색에너지산업의 혁명이라고도 할 풍력산업은 전세계적으로 새롭고 혁신적인 그린에너지로의 전환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국내 풍력산업의 활성화가 필요한 부분인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