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해외자원개발사업 내실화 방안’ 발표
신규투자 전면 중단 및 지분매각ㆍ구조조정키로

에너지공기업의 해외자원개발사업 방향이 △ 재무건전성 △내실화 △공공-민간 파트너십 강화 등 세가지 기본방향 아래 전면 재편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공기업 재무구조 개선 T/F' 논의결과를 바탕으로 ‘에너지공기업 해외자원개발 내실화 방안’을 마련, 10일 발표했다.

산업부는 그 동안의 해외자원개발사업이 공기업 대형화를 통한 역량강화 및 양적 성장전략에 있어서 불가피했다고 인정하면서도, 재무건전성이 악화되고 M&A와 자산인수에 주력해 자원개발 실력향상 노력에는 소홀했다고 평가했다.

발표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탐사ㆍ개발 중심의 자원개발전문회사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축 하게 된다. 신규사업은 탐사사업 위주로 추진하고, 기존 생산자산 중 비핵심사업은 구조조정 후 핵심사업 위주로 재편할 방침이다.

가스공사는 LNG 도입에 연관성이 큰 탐사ㆍ개발 사업에 투자를 주력하되 운영권 사업은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가스전 탐사ㆍ개발ㆍ생산, LNG 액화사업, 중하류사업 등 밸류체인별로 적정비율을 유지할 계획이다.

광물공사의 경우 암바토비, 볼레오 등 대형 개발사업은 조기 생산단계에 진입하고, 민간투자가 부진한 동ㆍ희유금속 등에 집중토록 할 방침이다.

3개 공기업 모두 신규사업 투자는 전면 중단하고 기업 내실화, 즉 숨고르기에 들어가라는 주문이다.

이렇다 보니 앞으로는 단계적으로 투자가 예정된 탐사 및 개발생산 부분만 사업비중이 높아지고 나머지 부문은 비중이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석유공사의 경우 해외사업 비중이 2012년 탐사 10.0%, 개발 25.9%, 생산 64.1%에서 2017년 탐사 29%, 개발 59%, 생산 12%로 각각 조정된다.

가스공사는 2012년 탐사 4.4%, 개발생산 37.5% 비중에서 2017년 탐사 10.4%, 개발생산 49.4%로 확대된다. 대신 같은 기간 LNG사업은 56.5%에서 40.4%, 중하류사업은 1.6%에서 0.2%로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광물공사의 경우 탐사, 개발, 생산 비중을 2012년 각각 13.7%, 64.6%, 21.7%에서 2017년 각각 21.7%, 73%, 4.7%로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한전 및 발전자회사의 경우 발전사업(IPP) 분야에 투자유선순위를 두고, 연관 자원개발사업은 도입 연계성 및 수익성을 고려해 사업이 추진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각 기업들의 부채비율이 대폭 감소할 것이란 기대다.

산업부는 209% 수준의 부채비율을 보이고 있는 석유공사의 경우 2017년 177%, 장기적으로는 130%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385%의 부채비율이 2017년 274%에서 장기적으로는 250%까지, 광물공사는 196%의 부채비율이 2017년 169%, 장기적으로는 130%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신규 투자재원 확보를 위해 석유공사는 신규 생산광구 매입 시 총 투자금액의 15% 이상을 재무적 투자자 유치로 충당해야 한다. 또 가스공사는 연내 정부출자를 및 유상증자를 통한 재원마련에 나서게 된다. 재원마련을 위한 지분매각과 구조조정도 추진된다.

이와 함께 석유공사ㆍ가스공사ㆍ광물공사는 해외투자 협력체계를 구축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전력공기업 해외진출 협의회’를 구성, 지역과 프로젝트별로 특화된 진출전략이 추진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공기업은 리스크가 높고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한 분야를 담당하고, 민간은 시장성 큰 분야로 투자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라며 "이번에 마련된 내실화 방안은 성과가 부진한 공기업 해외사업의 옥석을 가려 내실화를 도모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너지공기업 재무구조개선 TF(공동위원장 강주명 서울대 교수)는 학계ㆍ업계ㆍ투자전문가 회계기관 등 민간위원 8명과 공기업 관련 공공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그 동안 총 22차례의 분과회의 및 5회의 총괄분과회를 개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