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에 3년간 48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창의적인 신기술을 개발하고도 국내 인프라 부족과 실증에 들어가는 비용 때문에 이를 제품화 시키는데 고민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사실 RPS 시행이 1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이번 테스트베드 구축 발표는 상당히 늦은 감이 있다. 이정도 규모의 테스트베드 구축이 늦어도 2~3년 전에 이뤄졌어야 했을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에 있어서 너무 외형만 키우는데 집착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작은 식당을 개업하더라도 신선한 식재료 준비부터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 조리사 자격증을 갖춘 주방장, 다양한 메뉴의 개발 등 사전에 준비해야 할 것이 너무나도 많다. 어떤 업종이든 제대로 육성하려면 먼저 그에 대한 인프라가 탄탄히 구축돼야 함은 기본이다.

하물며 정부가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로 정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육성한다고 대대적으로 천명했던 신재생에너지산업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기본 인프라 없이 단순히 규모로 ‘신재생에너지 강국’을 지향한 결과 산업 자체는 급성장했지만 해외진출에 성공한 몇몇 기업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성장한 만큼의 체감이익을 보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조금만 일찍 이러한 대규모 테스트베드 구축에 나서 제품과 기술력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들긴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착실히 수행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